“외로운 게 익숙해졌어”…명절이면 더 슬픈 홀몸노인들

“외로운 게 익숙해졌어”…명절이면 더 슬픈 홀몸노인들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9-23 11:13
수정 2018-09-23 1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추석 때 찾는 가족 없어 쓸쓸…생활비 노령연금·기초수급비에 의존

“자식들은 있지만 추석이라고 해서 날 찾지 않은 지 오래됐어. 마땅히 갈 데도 없고 텔레비전이나 보면서 집에 있어야지”

추석을 앞둔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에 거주하는 박모(78·여)씨의 얼굴에서는 외로움이 가득 묻어났다.

평소 경로당과 복지관에서 마을 노인들과 즐겁게 지내는 박씨지만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 때만 되면 가슴 한편에 구멍이라도 난 듯 아프디아픈 허전함을 느끼는 명절 증후군을 앓는다.

서울에서 살다가 고향인 청주로 내려온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어떻게 지내는지 모를 정도로 아들, 딸과 왕래가 끊긴 지 오래다.

박씨는 “나도 연락 안 하고 사는 게 속 편해”라고 위로하 듯 말했다.

박씨는 “외롭긴 하지만 이렇게 명절을 보내는 게 익숙해졌어. 여기저기서 가져다준 송편도 잘 먹고 있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름진 그의 눈가에는 금세 눈물이 그렁그렁 비쳤다.

추석을 앞두고 청주시가 집계한 만 65세 이상 홀몸노인은 2만4천700명이다. 지난해 2만2천900보다 7.9%(1천800명)이나 증가했다.

이들 중 자녀들과 연락이 끊겨 이번 추석을 홀로 지내야 하는 ‘방치 위험 노인’들도 1천763명이나 된다. 작년 추석 때 1천483명보다 18.9%(280명) 증가했다.

이들은 대부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다. 소득이라고는 노령연금과 기초생활수급비가 전부인 형편이어서 추석 연휴 때 바람을 쐬러 다니기도 어렵다.

자녀들도 형편이 어렵다 보니 부모를 찾아뵙지 않는 게 일상이 됐다는 게 복지단체 종사자들의 얘기다.

고령화 추세에 따른 현상이지만 자녀와 멀리 떨어진 채 왕래조차 없이 외롭게 사는 노인들이 증가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추석을 앞두고 읍·면·동 사무소나 복지관이 송편과 떡, 과일, 음료 등을 전달하지만, 홀로 추석을 지내며 홀몸노인들의 외로움까지 달래주기는 어렵다.

청주시는 이들이 적적함을 덜 느낄 수 있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활관리사들이 홀몸노인들의 집을 매주 1∼2차례 찾아 말벗을 해주고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고 있다. 복지단체는 식사나 밑반찬을 배달하고 있다.

그러나 집에서 홀로 TV를 보면서 송편을 먹으며 추석을 보내기에는 이들의 적적함이 너무 크다.

한 생활관리사는 “집에 찾아갈 때마다 ‘고맙다’며 두 손을 꼭 잡을 때 마다 가슴이 뭉클하다”며 “소외감을 덜 느끼며 추석을 쇨 수 있도록 연휴 내내 매일 안부를 묻고 말동무도 해 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청주시도 홀몸노인 증가에 따른 안전문제, 고독사 등에 대처하기 위해 돌봄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에는 홀몸노인 통합 지원센터를 개소해 노인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