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매·취업 스트레스에 20대 폭식증 ‘심각’…89%가 여성

몸매·취업 스트레스에 20대 폭식증 ‘심각’…89%가 여성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0-16 11:54
수정 2018-10-16 1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광수 의원 “의지 문제가 아닌 질병으로 인식해야”

통제력을 잃은 채 과도하게 음식을 섭취하다가 구토하거나 설사약 등을 먹는 폭식증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 여성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이유 폭식증 고백
아이유 폭식증 고백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민주평화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령별·성별 폭식증 현황’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폭식증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1만6천934명이었다.

이 중 여성 환자 비율이 89%(1만5천29명)에 달했다. 남성 환자는 11%(1천905명)에 불과하다.

특히 여성 환자 중에서는 20~30대가 전체의 52.6%를 차지하는 등 비중이 컸다. 5년간 폭식증으로 진료를 받은 20대 여성은 5천167명(30.51%), 30대는 3천746명(22.12%)으로 나타났다.

폭식증은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단시간에 일반인이 먹을 수 있는 양보다 명백히 많은 양을 섭취한 뒤 구토나 설사약 등을 사용하는 비정상적 행위를 반복하는 증상을 칭한다. 대개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집착해 폭식한 후 구토 등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날씬함에 대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고자 하는 심리와 취업·학업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김광수 의원은 “폭식증 환자들을 바라볼 때 의지가 약해서, 결단력이 없어서 등 너무 쉽게 생각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큰 문제”라며 “폭식증은 의지가 아니라 뇌의 전달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더는 의지의 문제가 아닌 질병으로 인식하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