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범국가기구’ 위원장으로 내정된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이 3일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려면 우리가 훨씬 많은 저감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3일 김포공항 귀빈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중 미세먼지 저감 문제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3일 김포공항 귀빈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중 미세먼지 저감 문제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반 전 총장은 3일 이날 김포국제공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국과 같은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 1일 중국 베이징에서 가진 시진핑 주석과의 면담 결과를 소개하면서 “중국이 한국보다 더 강도있는 노력을 하는 걸 실감했다”며 “(우리나라) 정부나 산업기관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사흘간 베이징에 있었을 때 내내 파란 하늘이었다”며 “서울과 같은 (미세먼지) 현상을 느끼질 못했다”고 중국의 변화에 감탄했다. 시 주석은 반 전 총장에게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가 2013년과 비교해 지역에 따라 51∼90% 낮아졌다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면서 노후 공장 폐쇄와 자동차 폐기 등 중국이 그동안 기울인 노력을 강조했다고 한다.
반 전 총장은 한중 간 갈등을 유발하기보다는 교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 주석이나 중국 생태환경장관은 한국이 처한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잘 파악하고 있다”며 “이런 문제는 한중 간 경험을 서로 공유하며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반 전 총장은 “한국과 중국뿐 아니라 한중일 간에도 그동안 많은 협의가 오가고 합의한 사항이 있다”며 “미세먼지 문제는 동북아 전체 문제여서 양자 간, 지역 간, 다자 간 협력 체제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원장으로서 내 역할은 결정을 주도하기보다는 사회적·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국민 대토론회도 개최할 것”이라고 구상을 밝혔다.
반 전 총장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국내에 강력한 규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미세먼지 저감 목표치를 임기 내 30%로 세웠는데 선거전에 세운 것이기에 좀 적은지도 모르겠다”면서 “국민이 얼마만큼 굳은 마음을 갖고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 협조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범국가기구는 이르면 이달 말 준비를 마치고 출범할 예정이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