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여성가족재단 시민 2천44명 조사…64%는 “성평등 사례 경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송파구 서울놀이마당에서 어린이, 주민, 외국인 대학생 등이 추석을 앞두고 송편을 빚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10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서울시 성평등 명절사전’에 따르면 재단이 올해 설 연휴 기간(2월 1∼11일) 시민 2천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성평등 명절 체감 점수는 평균 49.6점으로 집계됐다.
여성 평균은 44.05점에 불과했으나 남성 평균은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도는 67.13점을 기록해 남녀 간 체감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마다 체감도 차이도 커 0점을 준 사람은 129명이었고, 100점을 준 사람은 80명이었다.
그러나 변화의 조짐도 감지됐다.
응답자의 63.5%(1천298명)는 명절에 성 평등 사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명절 음식 준비·운전·집안일 나누기가 867명(66.8%)으로 가장 많았고, 시가·처가 방문 순서 평등하게 하기(297명, 22.9%)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 외식하기, 남녀같이 절하기, 아들딸 구별 없이 세뱃돈 똑같이 주기 등이 성 평등 경험 사례로 꼽혔다.
응답자들은 ‘서방님, 도련님, 아가씨 등의 호칭을 어떻게 바꿔보고 싶느냐’는 질문에 ‘이름
’(∼씨, 님)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름으로 부르는 것 외에 동생, 삼촌, 이모 등으로 부르자는 의견도 있었다.
설문 참가자 중 여성은 76%, 남성은 24%였다. 기혼자는 63%, 비혼자는 37%였다.
재단은 이번 추석에도 성 평등 체감 점수와 사례에 관한 시민 의견조사를 진행한다.
조사는 11∼18일 재단 홈페이지(http://www.seoulwomen.or.kr)에서 진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강경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시민들의 의견을 직접 들어보니 명절 풍속도가 성 평등하게 바뀌고 있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고정관념에 따라 특정 성에 짐을 지우는 것들을 개선해 나간다면 모두가 더 행복한 명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