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만 잠깐 온다” “서로 신고해 주자” 코로나 설 풍경 [이슈픽]

“아들만 잠깐 온다” “서로 신고해 주자” 코로나 설 풍경 [이슈픽]

최선을 기자
입력 2021-02-11 15:48
수정 2021-02-11 15: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설 연휴 첫날 한산한 용인중앙시장
설 연휴 첫날 한산한 용인중앙시장 설 연휴 첫날인 11일 오전 경기 용인시 처인구의 용인중앙시장이 한산하다. 2021.2.11 연합뉴스
시장 상인들 대목에 허탕 ‘망연자실’
기차역·터미널, 예년 비해 차분한 모습
“며느리·손주 안 오고 아들만 온다”
“어른들 눈치보여 내려간다” 푸념도
설 연휴 첫날인 11일 시장들은 대목이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주요 기차역, 터미널 등도 예년에 비해 차분한 모습이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설 연휴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를 유지했다.

이날 오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중앙시장의 한 떡집 주인은 “설 연휴 첫날이면 떡국에 필요한 가래떡을 사 가려는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설 정도로 붐볐는데 오늘은 지금까지 손님을 한 명도 못 받았다”며 울상을 지었다.

이 곳에서 40년간 과일가게를 운영한 사장은 “장사 시작한 뒤로 설 연휴에 이렇게 손님이 없는 건 처음”이라며 “팔리지 않은 과일은 헐값에라도 팔아야 할 텐데 그마저도 여의치 않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시장을 찾은 한 60대는 “이번 설날에는 5인 이상 모임 금지 때문에 며느리와 손주는 집에 있고 두 아들만 잠깐 우리 집에 오기로 해서 지난 설날에 비해 사야 할 식자재가 확 줄었다”고 말했다.

예년 같으면 가족 귀성객으로 북적거렸을 부산역은 이날 평일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대구역에서도 가족 단위 이용객은 눈에 띄게 줄었고, 가볍게 짐가방을 챙긴 여행객들만 오갔다.

청주고속버스터미널에는 고향 집으로 보내는 설 선물이 수화물 접수창구에 잔뜩 쌓여 있었지만, 귀성객들로 붐비지는 않았다.

주요 노선 승차권이 매진됐던 예년과는 달리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하행성 노선 고속버스 예약률은 30~40%에 불과했다. 코레일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창가 쪽 자리만 예약을 받으며 좌석 수를 제한했는데도 좌석엔 여유가 많았다.
서울역 플랫폼은 명절 귀성객 표정을 포착하려는 사진기자들이 찾는 단골 장소다. 고향 앞으로 달려가는 시민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귀성 장면마저 살풍경하게 바꿔 버렸다. 사진은 올해 설 연휴 전날인 10일 양손에 명절 선물을 든 시민이 홀로 부산행 KTX에 오르려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서울역 플랫폼은 명절 귀성객 표정을 포착하려는 사진기자들이 찾는 단골 장소다. 고향 앞으로 달려가는 시민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귀성 장면마저 살풍경하게 바꿔 버렸다. 사진은 올해 설 연휴 전날인 10일 양손에 명절 선물을 든 시민이 홀로 부산행 KTX에 오르려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이처럼 달라진 설 풍경이 펼쳐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어른들 눈치가 보여 귀성길에 오른다는 푸념도 눈에 띄었다. 맘카페 등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서로 신고해 주자”는 글이 연이어 올라올 정도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명절 때라도 자식들을 보고 싶은 부모의 마음과 먼저 “오지 마라”는 말을 해주길 바라는 마음이 부딪치는 것이다.

한편 일부 2030 세대 청년들은 명절 때마다 취업과 결혼 등을 놓고 쏟아지는 친척들의 잔소리를 피할 수 있다며 방역당국의 지침을 반기기도 했다.

이번 설 연휴에는 직계 가족이라도 거주지가 다르면 5인 이상 모일 수 없다. 어기면 10만원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번 설은 안 가는 게 효도”라며 이동 자제를 강력하게 권고했다.
이미지 확대
설 명절도 거리두기
설 명절도 거리두기 설 명절을 엿새 앞둔 5일 오후 부산 수영구 남천동의 한 거리에 명절 기간동안 고향 방문 자제를 권장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2021.2.5 뉴스1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