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 연휴 첫날 한산한 용인중앙시장
설 연휴 첫날인 11일 오전 경기 용인시 처인구의 용인중앙시장이 한산하다. 2021.2.11 연합뉴스
기차역·터미널, 예년 비해 차분한 모습
“며느리·손주 안 오고 아들만 온다”
“어른들 눈치보여 내려간다” 푸념도설 연휴 첫날인 11일 시장들은 대목이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주요 기차역, 터미널 등도 예년에 비해 차분한 모습이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설 연휴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를 유지했다.
이날 오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중앙시장의 한 떡집 주인은 “설 연휴 첫날이면 떡국에 필요한 가래떡을 사 가려는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설 정도로 붐볐는데 오늘은 지금까지 손님을 한 명도 못 받았다”며 울상을 지었다.
이 곳에서 40년간 과일가게를 운영한 사장은 “장사 시작한 뒤로 설 연휴에 이렇게 손님이 없는 건 처음”이라며 “팔리지 않은 과일은 헐값에라도 팔아야 할 텐데 그마저도 여의치 않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시장을 찾은 한 60대는 “이번 설날에는 5인 이상 모임 금지 때문에 며느리와 손주는 집에 있고 두 아들만 잠깐 우리 집에 오기로 해서 지난 설날에 비해 사야 할 식자재가 확 줄었다”고 말했다.
예년 같으면 가족 귀성객으로 북적거렸을 부산역은 이날 평일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대구역에서도 가족 단위 이용객은 눈에 띄게 줄었고, 가볍게 짐가방을 챙긴 여행객들만 오갔다.
청주고속버스터미널에는 고향 집으로 보내는 설 선물이 수화물 접수창구에 잔뜩 쌓여 있었지만, 귀성객들로 붐비지는 않았다.
주요 노선 승차권이 매진됐던 예년과는 달리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하행성 노선 고속버스 예약률은 30~40%에 불과했다. 코레일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창가 쪽 자리만 예약을 받으며 좌석 수를 제한했는데도 좌석엔 여유가 많았다.

연합뉴스
서울역 플랫폼은 명절 귀성객 표정을 포착하려는 사진기자들이 찾는 단골 장소다. 고향 앞으로 달려가는 시민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귀성 장면마저 살풍경하게 바꿔 버렸다. 사진은 올해 설 연휴 전날인 10일 양손에 명절 선물을 든 시민이 홀로 부산행 KTX에 오르려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편 일부 2030 세대 청년들은 명절 때마다 취업과 결혼 등을 놓고 쏟아지는 친척들의 잔소리를 피할 수 있다며 방역당국의 지침을 반기기도 했다.
이번 설 연휴에는 직계 가족이라도 거주지가 다르면 5인 이상 모일 수 없다. 어기면 10만원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번 설은 안 가는 게 효도”라며 이동 자제를 강력하게 권고했다.

설 명절도 거리두기
설 명절을 엿새 앞둔 5일 오후 부산 수영구 남천동의 한 거리에 명절 기간동안 고향 방문 자제를 권장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2021.2.5 뉴스1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