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키맨’ 유동규 ‘무소불위’ 권력 정황 2013년 성남시설관리공단 재직 시절 관용차로 출퇴근·퇴근 후 골프연습장행 성남 지역 언론에 적발됐으나 징계無 유동규 측 “모르는 내용”
이미지 확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연합뉴스
경기 성남시 대장동 개발 사업을 총괄하며 특혜·로비 의혹의 ‘키맨’으로 지목된 유동규(52·구속기소) 전 성남도시개발공사(성남도개공) 기획본부장이 과거 업무용 차량(관용차량)을 출퇴근에 활용하거나 골프연습장에 드나들었음에도 징계 없이 넘어갔던 것으로 드러났다.
31일 서울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2013년 8월 당시 성남시설관리공단 기획관리본부장이었던 유 전 본부장은 업무용 차량으로 지급된 SM520 승용차로 출퇴근을 하고, 퇴근 뒤에 심지어 골프연습장에 출입하다가 성남 지역에서 문제로 불거졌다. 성남시설관리공단은 성남도개공의 전신으로 유 전 본부장은 2010년 10월부터 임원으로 재직했다.
행정안전부의 ‘공용차량 관리규정은 “업무용 차량으로 출·퇴근하는 등 공무 외 사용을 제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성남시설관리공단 역시 시행세칙을 통해 공단의 재산을 사적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되고, 현장방문 등의 경우에만 관용차를 이용한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명시했다.
당시 상황을 소상히 아는 지역 관계자 A씨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유 전 본부장이 문제가 돼 지역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됐다”고 떠올렸다. 성남시설관리공단에 재직하던 고위 관계자 B씨 역시 “유 전 본부장이 아래 직원을 운전시키고 업무용 차량으로 출퇴근하다 적발돼 회사 안이 한바탕 난리가 났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성남시설관리공단의 2013년 전체 징계 직원 목록에는 유 전 본부장의 이름이 올라오지 않았다. 그해 자체 감사 및 징계 기록에도 ‘관용차량 무단사용’으로 징계를 받은 직원은 없었다. 유 전 본부장이 여러 차례 조직 규정을 어겨 논란이 벌어졌지만 징계를 받지 않는 ‘무소불위’ 권력이었다는 뜻이다.
당시 성남시설관리공단에 재직했던 관계자 C씨는 “관용차량 문제로 유 전 본부장이 감사를 받은 적은 없었다”며 “유 전 본부장이 당시 상임이사여서 감사실 직원이 임원을 조사하는 것도 어려웠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