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 작년 신혼부부 8만쌍 줄어

코로나 여파 작년 신혼부부 8만쌍 줄어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1-12-09 22:28
수정 2021-12-12 16: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 집 없는 전월세 부부 0.8%P 늘고
열에 일곱은 ‘허니문 베이비’ 꺼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신혼부부가 8만쌍 가까이 줄었다. 집값 폭등으로 무주택 신혼부부가 많아졌고 빚도 더 늘었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열에 일곱(72.4%)은 ‘허니문 베이비’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11월 1일 기준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국내 거주 부부다.

9일 통계청의 ‘2020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는 118만 3750쌍으로 2019년 126만 117명에서 7만 6367명(6.1%) 감소했다. 특히 결혼 1년차 부부는 9.4% 급감했다. 전반적인 결혼 감소 추세 속에 코로나19가 덮치면서 결혼을 미룬 예비부부가 늘어난 결과다.

소유한 집 없이 전·월세에 사는 초혼 신혼부부는 57.9%로 전년 대비 0.8% 포인트 늘었다. 신혼부부 다섯 쌍 가운데 두 쌍 정도가 유주택자로 결혼 생활을 시작한다는 의미다.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71.7%)로 전년 대비 1.9% 포인트 상승했다.

신혼부부 열에 아홉(87.5%)은 대출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1억 3258만원으로 전년 1억 1208만원에서 18.3% 늘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52.0%로 전년 대비 2.9% 포인트 늘었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7709만원으로 외벌이 부부 평균 소득 4533만원의 1.7배 수준이었다.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는 44.5%로 전년 대비 2.0% 포인트 늘었다. 특히 결혼 1년차 ‘자녀 없음’의 비율은 72.4%로 0.3% 포인트 늘었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허니문 베이비도 차츰 줄고 있다는 의미다.

평균 자녀 수는 0.68명으로 전년 0.71명에서 0.03명 감소했다. 또 집이 있는 부부일수록 출산·양육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주택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61.4%인 반면 무주택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51.1%에 그쳤다.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경기(28.8%)였다. 그다음 서울(18.5%)은 경기와 10.3% 포인트 차이가 났다. 비싼 서울 집값을 감당하지 못해 서울 외곽으로 나가서 사는 신혼부부가 많다는 뜻이다.

2021-12-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