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인이 피해자의 돈을 금은방 주인 계좌로 보내게 해 자신이 귀금속 대금을 치른 것처럼 하고 금팔찌 등을 가져갔다 붙잡혔다.
대전지법 형사7단독 김도연 부장판사는 컴퓨터 등 사용사기와 특수재물손괴 혐의로 기소된 A(34)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이미지 확대
대전지법 및 고법. 이천열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전지법 및 고법. 이천열 기자
A씨는 지난해 3월 경기 김포시의 한 금은방에 들어가 “팔찌와 반지를 사고 싶다”며 주인의 계좌번호를 알아냈다. 그 사이 신원 불상의 보이스피싱 일당 한 명이 피해자 B씨에게 마치 딸인 것처럼 가장하고 “휴대전화 액정이 깨져 보험 처리해야 한다”며 애플리케이션을 깔게한 뒤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 금융 정보를 빼돌렸다. 이어 B씨 계좌에 있던 600여만원을 금은방 주인 계좌로 보냈고, 주인은 입금 사실을 확인한 뒤 A씨 측이 귀금속 대금을 보낸 것으로 알고 금은방에 있던 A씨에게 20돈 상당의 금팔찌를 건넸다.
A씨 등 보이스피싱 일당은 이같은 수법으로 한 달여 동안 5 차례에 걸쳐 모두 5100만원 상당의 귀금속을 가로챈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또 지난해 6월 13일 오후 3시 10분쯤 서울 관악구의 한 도로에서 자신을 추격하는 경찰관을 피해 승용차를 몰고 달아나다 다른 차량 4대를 연달아 들이받기도 했다.
재판부는 “사기 수법이 매우 지능적이어서 B씨 등 보이스피싱 피해자는 물론 다수의 금은방 주인에게도 큰 피해를 입혔고, 경찰 추적을 피하려 하다 타인의 자동차까지 훼손하는 등 죄책이 가볍지 않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