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는 외계인이 아닙니다” 경계선지능인 위한 첫 ‘사랑방’

“저희는 외계인이 아닙니다” 경계선지능인 위한 첫 ‘사랑방’

최선을 기자
입력 2022-06-22 17:22
수정 2022-06-22 17: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2일 문을 연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에서 홍미영씨가 인터뷰하고 있다. 최선을 기자
22일 문을 연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에서 홍미영씨가 인터뷰하고 있다. 최선을 기자
“저희는 외계인이 아닌데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시선에 마음이 아픕니다.”

22일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에서 만난 홍미영(49)씨는 경계선지능 아동에 대해 “조금은 느리지만 꾸준히 알려 주면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아이들”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홍씨의 아들 박민수(19·가명)군은 중학생 때까지는 일반 학교에 다녔다. 홍씨는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많이 울어서 지능이 낮은 걸 알게 됐지만, 처음엔 제가 인정을 못 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구구단을 외울 때도 보통 아이들은 그냥 암기가 되는데, 민수는 퍼즐 같은 걸로 2와 2를 곱하면 4가 된다는 걸 눈으로 보여줘야 하는 식”이라며 “반복 학습을 하지 않으면 잘 잊어버리지만, 계속 가르쳐주면 어느 순간엔 다 습득이 되더라”라고 설명했다.

민수군은 경계선지능 학생을 위한 예하예술학교에 입학한 뒤 웃음을 되찾았다. 가장 바뀐 건 ‘칭찬’이었다. “너 왜 그래”, “너만 왜 늦어”라는 말을 듣던 민수군은 예하예술학교에서 선생님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받으니 자신감이 생겼다고 한다. 홍씨는 “공부에 대한 마음을 내려놨더니 오히려 상황이 나아졌다”며 “지금은 한국사에 흥미가 생겨서 그쪽 공부를 하고싶어 한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가 22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이날 센터에서 개관식이 진행되는 모습. 서울시 제공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가 22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이날 센터에서 개관식이 진행되는 모습. 서울시 제공
경계선지능인은 지능 지수가 71~84 사이로, 지적장애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국내 인구의 13.5%로, 7명 중 1명이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법적 장애인이 아니어서 복지 정책에서는 소외되고 있다. 경계선지능인은 인지·사회적 능력이 비장애인에 비해 낮아 학교생활과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서울시는 중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평생교육 지원센터를 이날 전국 최초로 개관했다. 개관식에는 학부모와 학생 50여명이 모였다.

센터는 사회성 프로그램과 일대일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나아가 심리정서상담 지원,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인식 개선 사업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민수군은 센터에서 진로 상담을 받을 예정이다. 홍씨는 “경계선지능 학생이 다닐 수 있는 학교도 많지 않지만 졸업하고 나면 더 막막하다”며 “대학 진학과 취업 준비까지 도와주는 센터가 생겨서 학부모들이 환호했고, 전국적으로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경계선지능인에게는 또래끼리 모여서 노는 것도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이 된다. 센터는 앞으로 이들의 만남을 위한 ‘사랑방’이 될 전망이다. 운동 프로그램 참여를 신청한 김명혁(19)군은 “센터에 오니 친구들이 많아 서로 장난치며 놀 수 있어서 즐거웠다”면서 “어렸을 때 야구선수를 꿈꿨던 적이 있어서 운동 프로그램 중 야구는 자신 있다”며 웃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