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종묘 가른 율곡로 지하화… 그 위에 8000㎡ 녹지 만들어 연결

창경궁·종묘 가른 율곡로 지하화… 그 위에 8000㎡ 녹지 만들어 연결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2-07-20 20:38
수정 2022-07-21 04: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0년 만에 복원… 22일 개방

일제가 없앤 궁궐 담장도 조성
“양쪽 쉽게 오가도록 관람 협의”
이미지 확대
취재진이 20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터널 상부에서 열린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 프레스 투어에 참가해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취재진이 20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터널 상부에서 열린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 프레스 투어에 참가해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일제가 현 율곡로인 ‘종묘관통도로’를 개설하면서 갈라놓은 창경궁과 종묘 사이가 90년 만에 이어졌다. 서울시는 창경궁과 종묘를 잇는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을 12년 만에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창경궁과 종묘를 단절시킨 율곡로를 지하화하고 그 위에 약 8000㎡ 규모의 녹지를 만들어 연결했다.

종묘는 역대 조선의 왕과 왕후의 신주(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원래 동궐(창덕궁·창경궁)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하나의 숲으로 이어져 있었다. 조선총독부가 광화문 앞에서 창덕궁 돈화문을 지나 조선총독부의원(서울대병원의 전신인 대한의원) 앞을 통과하는 도로를 만들면서 창경궁과 종묘를 갈라놨다.

일제가 없앤 창경궁과 종묘 사이 궁궐 담장(503m)과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창경궁에서 종묘로 갈 때 이용했던 ‘북신문’(北神門)도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궁궐 담장에는 공사 중 발굴한 옛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을 20% 이상 재사용했다.

궁궐담장을 따라 산책할 수 있는 ‘궁궐담장길’도 새로 만들었다. 돈화문 앞에서 창경궁 내부를 거쳐 원남동사거리까지 이어지는 총 340m의 길이다. 조선시대에는 없었던 길로 창경궁과 종묘를 보다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복원한 공간은 22일부터 시민에게 개방한다. 다만 당장 궁궐담장길에서 종묘와 창경궁으로 드나드는 건 불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창경궁과 종묘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문화재청과 협의 중”이라며 “창경궁과 종묘의 통합 관람 체계를 마련하고 문화재 보호를 위한 추가 협의가 이뤄지는 대로 개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2022-07-2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