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1명이 ‘탈모’…머리 때문에 대인기피증까지

3명 중 1명이 ‘탈모’…머리 때문에 대인기피증까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4-08 16:18
수정 2023-04-08 1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탈모 자료사진. 123RF
탈모 자료사진. 123RF
‘머리 말릴 때마다 우수수 빠지는 머리카락, 점점 넓어지는 이마선, 허전해지는 정수리.’

국민 3명 중 1명은 이런 탈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탈모로 인한 대인기피, 심리적 위축, 우울감을 겪는 인구도 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3 헤어 관리 및 탈모 관련 인식 조사’를 보면, 30.3%가 탈모를 실제로 경험했으며, 연령별로는 10대 5.3%, 20대 45.0%, 30대 73.3%, 40대 72.5%, 50대 42.9%로 나타났다.

54.8%는 탈모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낮아졌다고 답했고, 39.9%는 우울감까지 느꼈다고 했다. 17.2%는 탈모로 만남이나 외출을 꺼리거나 주저한 경험이 있다고 털어놨으며, 14.2%는 주변인에게 좋지 않은 시선이나 놀림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대인기피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겪은 사람도 13.5%에 달했다. 12.5%는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로 신경성 질환이 생겼다고 했다.

특히 20대 저연령층에서 만남이나 외출을 주저하거나(20대 25.6%, 30대 16.9%, 40대 17.0%, 50대 13.9%), 주변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시선과 놀림을 받은 경험(20대 23.3%, 30대 9.9%, 40대 15.9%, 50대 11.9%)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인기피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20대 20.9%, 30대 14.1%, 40대 10.2%, 50대 12.9%) 역시 연령이 낮을수록 자주 겪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9.6%)은 탈모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증상 중 하나라고 응답했으며, ‘요즘은 탈모 고민을 누구나 갖고 있는 것 같다’(73.7%)는 인식도 강한 편이었다. ‘탈모 문제가 전국민적인 관심 사안이 된 것 같다’(61.5%)는 응답도 많았다. 탈모는 중장년층만이 겪는 증상이 아니며(89.9%, 동의율) 여성도 탈모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90.4%)는 인식도 강했다.

탈모인이 늘면서 탈모 치료제 건강보험 적용과 지방자치단체의 2030 청년세대 탈모 치료비 지원정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지난 대선 때 등장한 탈모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이슈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응답자는 9.2%에 불과했지만, 탈모도 엄연히 질환이나 질병 중 하나(70.1%, 동의율)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응답자 10명 중 6명(61.4%)이 해당 정책에 찬성했다. 탈모 치료를 받는다면 증상의 심각성(53.1%, 동의율)과 목적(52.5%)에 관계없이 건강 보험 혜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지자체의 청년 세대 탈모 치료비 지원 정책에도 절반(50.9%)이 찬성했다.

특히 여성(46.8%)보다는 남성(55.0%)에게서, 탈모 증상이 심각한 응답자를 중심으로 정책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