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역 어디지?” 허둥지둥 그만…서울지하철 역이름 ‘잘 보이게’ 바뀐다

“이번 역 어디지?” 허둥지둥 그만…서울지하철 역이름 ‘잘 보이게’ 바뀐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4-18 15:24
수정 2023-04-18 17: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4호선 삼각지역에서 시민들이 지하철에 탑승해 이동하고 있다. 2022.12.13 홍윤기 기자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4호선 삼각지역에서 시민들이 지하철에 탑승해 이동하고 있다. 2022.12.13 홍윤기 기자
지하철을 타고 출퇴근하는 직장인이라면 졸다가 혹은 휴대전화를 보다가 ‘현재 역’이 어딘지 알 수 없어 당황스러웠던 경험이 한번쯤 있을 것이다. 지하철 객차 안내화면은 운행정보보다 광고를 더 비중있게 표시하고, 내릴 문이 어느 쪽인지 등이 한글과 영어로 나오기 때문에 현재 역이 어딘지 바로 알기가 힘들다.

실제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문 열기 직전에서야 도착 역이 어딘지 나와서 놀리는건가 싶다” ,“내선순환, 외선순환만 나오고 역 이름은 안나와서 답답했다”, “다음 역이 어딘지 계속 띄워주면 안되나” 등 불편을 호소하는 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앞으로 이용자들의 불편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대대적인 ‘지하철 도착역명 시인성 개선’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에 도착역명을 표기해 시인성 개선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지하철 도착역명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은 지하철 이용객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돼 왔다. 서울교통공사 민원 접수창구인 ‘고객의 소리’에는 도착역 정보를 알기 쉽게 해달라는 민원이 작년 한 해에만 819건 접수됐다.

시는 지하철 역명 시인성 개선을 위해 역명 표기 글자를 확대하고, 밝은색을 사용해 잘 보이도록 개선한다.

또한 열차 내 어디서든 잘 보이도록 부착 지점과 표지 유형 대형과 소형으로 다양화한다. 현재 부착 위치인 승차장 안전문의 가동문 외에 비상문과 가동문에도 각각 대형·소형 역명표지를 붙여 도착역 이름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이날부터 시청역 2호선 외선방향을 시작으로 시인성 개선 사업에 돌입했다. 올해 7월까지 서울시 내 전체 역사 337개소에 적용할 예정이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그간 많은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며 느꼈던 불편사항들이 ‘창의 행정 아이디어’를 계기로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하철 역명 시인성 개선사업 추진을 계기로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서비스 발전 사항을 적극 발굴하고, 서울 교통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