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혁신 미래’ 바르셀로나서 찾는다

‘광주 도시혁신 미래’ 바르셀로나서 찾는다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입력 2023-07-26 14:57
수정 2023-07-26 1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주시 대표단, 스페인 ‘22@혁신지구’서 활력도시 벤치마킹
사람중심 개발·일자리·산업 확대로 ‘살기 좋은 도시’ 탈바꿈
옛 전방부지 개발·광주역 창업벨트 등 스마트 도시재생 모색

이미지 확대
강기정 광주시장이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22@ 혁신지구’를 방문해 줄리아 코르도넷 도낫 바르셀로나 시청 국제경제진흥자문관과 혁신지구를 둘러보고 있다. 광주시 제공
강기정 광주시장이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22@ 혁신지구’를 방문해 줄리아 코르도넷 도낫 바르셀로나 시청 국제경제진흥자문관과 혁신지구를 둘러보고 있다. 광주시 제공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과 구도심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인 광주시가 스페인 바르셀로나 혁신지구를 찾아 ‘공공성 강화를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했다.

강기정 시장 등 광주시 대표단은 23~24일(현지시간) 세계적인 스마트 도시재생 혁신 성공모델로 꼽히는 스페인 ‘22@바르셀로나 혁신지구’와 보행자 중심도로인 ‘람블라스 거리’ 등을 벤치마킹했다.

대표단은 먼저 지방정부 경제개발기관인 바르셀로나 악티바본부를 방문, 파우 솔라니야(Paul solanilk) 바르셀로나시청 국제경제진흥국장으로부터 ‘22@플랜’을 소개받고 ‘22@혁신지구’ 곳곳을 둘러봤다.

대표단은 섬유공장의 커다란 굴뚝이 보존된 미디어파크 광장, 리모델링을 통해 대학·도서관으로 탈바꿈한 폐공장, 공공기여로 조성된 녹지(공원), 공유자전거 시설, 친환경 건축물과 22@의 랜드마크인 아그바타워 등을 찾았다.

‘22@혁신지구’는 바르셀로나 지방정부가 2000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하는 장기 도시재생 프로젝트다. 쇠퇴한 공업지구를 지식기반산업·교육기관·주거 등 문화시설이 공존하는 혁신지구로 탈바꿈시킨 스마트 도시재생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

대표단은 이어 바르셀로나시의 ‘보행자 중심 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카탈루냐 광장에서부터 콜럼버스 기념탑까지 이어지는 람블라스 거리를 방문했다.

대표단은 람블라스 거리를 포함해 일대 12㎞를 직접 걸으며 바르셀로나 시의 ‘보행자 중심 정책’ 현장을 살펴봤다. 바르셀로나시의 이같은 정책에 대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반응은 물론 보행자 중심 도로의 기능을 확대할 경우 우회도로 건설·교통체증 등 문제점, 광주시 도시재생 정책과 접목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등을 꼼꼼히 점검했다.

광주시는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과 광주역 일원에 추진 중인 1조1844억원 규모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에 ‘22@혁신지구’의 성공사례를 접목할 계획이다.

강기정 시장은 “도시에 어떤 가치를 담느냐에 따라 도시의 미래가 크게 달라진다”며 “보행자 중심, 녹지 확대 등 인간을 최우선에 둔 공공성 확보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시재생, 도심개발 등 광주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현안이 많고, 이는 시민의 삶과 직결되는 만큼 바르셀로나 성공사례를 광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