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무료 돌봄 좋지만…한 반 20명 제대로 될까”

“1학년 무료 돌봄 좋지만…한 반 20명 제대로 될까”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3-06 01:36
수정 2024-03-06 07: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늘봄학교 시행, 기대·우려 교차

저녁 8시까지 예체능·독서 등 활동
일부 인력·공간 부족으로 시행 늦어
“강사 못 구해…교사 업무 늘어”
이미지 확대
5일 오후 서울 아현초등학교 ‘늘봄학교’ 프로그램 중 ‘세상의 모든 리듬’ 에 참여한 학생들이 선생님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오후 서울 아현초등학교 ‘늘봄학교’ 프로그램 중 ‘세상의 모든 리듬’ 에 참여한 학생들이 선생님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서울 마포구 아현초등학교에서는 수업을 마친 1학년생 12명이 오후 1시부터 운동장에 모여 강사와 함께 축구 드리블 연습에 몰두한다. 수업이 일찍 끝나는 1학년을 위해 마련된 체육 교실이다. 같은 시간 학교 내 별도 공간인 ‘꿈자람터’에서는 학생 20명이 손뼉을 치며 리듬 감각을 익히고 있다. 올 1학기 서울에서 운영하는 38곳의 ‘늘봄학교’ 가운데 한 곳인 이 학교에서는 1학년생 103명 중 58명이 정규 수업 이후 아트공예와 책놀이, 기초연산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새 학기 전국 2741개 학교에서 늘봄학교가 시행된 가운데 학교 현장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저녁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지만, 강사 확보가 어려워 시행이 미뤄지거나 학교의 참여가 저조해 일부 지역에서는 돌봄 이용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초등학생 모두에게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돌봄 공백을 채우기 위해 정부가 올해 2학기 전국 모든 학교 도입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특히 하교가 이른 초등 1학년은 오후 3시까지 학교에서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아현초 1학년생 학부모 이모(45)씨는 “무료로 1학년 아이들이 이런저런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좋다”며 “지난주에야 급하게 학교 공지가 떠서 부랴부랴 신청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우려나 운영상 혼선으로 신청을 못 한 학부모들도 있다. 서울에서 초등학생을 키우는 박모(41)씨는 “늘봄학교를 시작한다는데 언제 하교하는지도 공지해 주지 않았다. 오후 2시인지 3시 10분인지 정해지지 않은 게 말이 되느냐”고 되물었다. 또 다른 학부모 김모(42)씨는 “늘봄학교 한 반에 인원이 20명이라고 하는데 교사 한 명이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늘봄학교 범부처 지원본부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늘봄학교 범부처 지원본부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력과 공간 부족으로 시행을 미룬 학교도 적지 않다. 학생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대도시에서는 유휴 교실을 찾기 힘들고 강사 섭외도 어렵기 때문이다. 서울 강서구 등 일부 과밀 지역 초등학교는 늘봄학교 시범 운영을 신청했지만 인력을 구하지 못해 이달 중순으로 시행이 미뤄졌다. 서울은 늘봄학교 참여율이 전체 565개 공립 초등학교 중 6.7%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교사노조가 서울 24개교를 대상으로 초등 1학년 맞춤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한 결과 늘봄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중 75%가 전교생 600명 이하의 중소 학교였다. 또 강사 대신 교장·교감·교사가 초빙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1학기에 운영하는 학교는 외부 강사 외에 희망하는 교원도 강사로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며 “이달 중 학교 150곳까지 적극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03-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