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수 감소에…서울 중·고교, 남녀공학 전환하면 인센티브 준다

학생 수 감소에…서울 중·고교, 남녀공학 전환하면 인센티브 준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4-02 03:12
수정 2024-04-02 0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령인구 감소에 통학 불편 심화
교육과정 운영비 등 6억원에
상담 등 인건비 9000만원 지원

이미지 확대
지난달 4일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열린 입학식에서 신입생들이 손뼉을 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4일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열린 입학식에서 신입생들이 손뼉을 치고 있다. 연합뉴스
남학생이나 여학생으로만 이뤄진 단성 중고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 서울시교육청이 학교당 6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학령인구 감소로 학교 운영이 어려워지자 재정을 지원해 전환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런 내용의 ‘중장기 남녀공학 전환 지원 확대 방안’을 1일 발표했다. 올해 기준 서울 전체 중·고등학교 708곳 가운데 단성학교는 241곳(34.0%)이다. 중학교는 390곳 중 90곳(23.1%), 고등학교는 318곳 중 151곳(47.5%)이 이에 해당한다. 단성중학교는 90개 학교 가운데 80개교(88.9%)가, 고등학교는 151개교 중 129개교(83.2%)가 사립이다.

서울시교육청은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는 학교가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학교당 3년간 총 6억원을 지원한다. 공학 전환에 따라 학생 생활지도 등 상담 인력 채용에 활용하도록 인건비로 학교당 3년간 총 9000만원을 준다. 기존에 교육청이 지원하던 화장실 개선사업비(탈의실·보건실 포함)도 계속 제공한다.

교육청이 남녀공학 전환을 유도하는 이유는 단성학교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일부 학생의 통학 거리가 멀어지는 불편이 발생해서다. 더욱이 단성학교 비중이 높으면 그 지역 남녀공학 학교에서 성비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 경우 학생·학부모가 진학을 기피하는 문제도 있다는 게 교육청 설명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한 성별의 학교가 몰려있는 지역에서 다른 성별 학생은 멀리 떨어진 곳의 단성학교나 공학을 찾아야 했기 때문”이라며 “양성평등교육 확대도 한 이유”라고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학생 수가 줄어드는 가운데 일부 지역은 학생 쏠림이 심화하면서 최근에는 서울·인천 등 수도권에서도 학교 신설 대신 남녀공학 전환이 늘고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장충고 등 5개교가 남녀공학 전환을 신청한 데 이어 올해도 여고였던 3개 학교(미림마이스터고·염광메디텍고·화곡보건경영고)가 처음 남학생을 받았다. 서울시교육청은 내년도 공학 전환을 위해 다음달 말까지 학교 신청을 받고 오는 7월 대상 학교를 확정할 예정이다.
2024-04-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