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9일 시청 동인청사 기자실에서 군위하늘도시 조성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경북(TK)신공항의 배후 신도시인 ‘군위하늘도시’를 인구 14만 명 규모로 개발하겠다는 청사진이 나왔다. 시는 공항경제권의 핵심 지역이 될 군위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9일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기자설명회를 열고 군위하늘도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개발계획 수립에 나선다고 밝혔다. 신도시는 제1·2첨단산단 주변 개발사업 등을 기반으로 군위 인구 25만 명 시대를 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사업의 규모가 크다는 점을 고려해 2단계로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1단계 사업 기간에는 2025년부터 2034년까지 각종 인프라 조성과 함께 2만 세대 규모로 개발한다. 특히,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약 5000세대의 주거단지를 우선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공항 개항 초기 안정적인 운영을 뒷받침할 것이라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2단계 개발은 향후 공항 활성화에 따른 개발수요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등할 수 있게 민간에서도 택지개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정 부시장은 “군위 하늘도시는 생산유발효과 약 1조7400억원에 부가가치 유발효과 약 8000억원, 고용유발효과 약 1만2700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군위하늘도시 조감도. 대구시 제공
이 밖에도 군위하늘도시는 쾌적한 정주환경과 친환경 청정도시, 편리한 생활 인프라, 탄소중립 선도도시라는 4대 전략을 기반으로 미래형 스마트 도시로 개발된다. 또한 대구테크노파크와 연계한 첨단산업기술단지 조성, 계명대 동산의료원이 주축이 되는 메디컬센터 건립, 항공산업에 특화된 항공고등학교 및 국제학교 유치, 창의적 융복합 공간 제공을 위한 화이트존(미래 개발수요 변화 대응을 위해 용도 지정이 유보된 지역) 마련에도 나선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세계적인 공항은 그 위상에 걸맞은 배후 신도시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국가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며 “군위하늘도시는 단순히 공항을 지원하는 기능을 넘어,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글로벌 관문 도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