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대 의과대학 비대위 침묵시위
지난 10일 오후 부산 금정구 부산대 대학본부에서 의과대학 비상대책위 소속 학생들이 의대 정원 원점 재검토, 전공의 처단 망발 규탄을 내용으로 하는 피켓을 들고 침묵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지역 전공의 수련병원이 내년도 상반기 모집을 마감했지만, 지원자가 정원보다 한참 모자란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 병원이 내년 상반기 1년 차 레지던트 모집을 마감했다. 병원별로 보면 75명 모집에 나선 부산대병원에는 고작 1명만 지원했으며, 동아대병원은 45명 모집에 2명만 지원했다. 부산의료원은 9명을 모집할 계획어었지만,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다.
인제대 부산백병원과 해운대백병원은 지원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다른 병원의 상황을 봤을 때 모집 인원인 47명, 42명에는 크게 미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의정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마당에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때 발표된 포고령 1호에 ‘미복귀 전공의 처단’이 적시된 탓에 의료계의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10일 부산대 의대 교수회와 의대생들은 시국 선언문을 내고 “독재와 강압에 의한 의대 정원 증원은 원천 무효”라며 “정부의 의료 정책에 반대한다고 전공의를 처단해야 한다며 계엄을 선포하는 윤석열 정부에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토론은 있을 수 없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지역 의료계는 더욱 깊어진 의정갈등의 골이 전공의 모집 미달로 현실화하면서 의료 공백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현재 갈등 상황을 볼 때 내년 1월 예정인 2~4년 차 레지던트 모집도 미달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서다.
의료계 관계자는 “지금도 병원에 남은 전문의가 부족한데, 의정 갈등도 봉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올해보다 내년이 더 걱정된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