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정점 지난 독감, 아직 대유행…백신 접종 서둘러야

유행 정점 지난 독감, 아직 대유행…백신 접종 서둘러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5-01-17 11:49
수정 2025-01-17 1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역대급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한 어린이 전문 병원이 내원객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역대급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한 어린이 전문 병원이 내원객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무섭게 확산하던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정점을 찍고 한 풀 꺾였다. 하지만 여전히 유행 수준이 높아 지금이라도 서둘러 예방접종을 하라고 방역 당국은 밝혔다.

1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의원급(300곳) 의료기관 표본감시 결과 2025년 2주차(1월 5~11일) 외래환자 1000명 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86.1명으로 직전 주(2024년 12월 29~2025년 1월 4일) 99.8명 대비 13.7% 감소했다. 하지만 여전히 2016년 이래 가장 높은 유행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은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서둘러 달라”며 “유행 안정 시까지 손 씻기, 기침 예절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현재 인플루엔자 유행은 7~18세 청소년이 주도하는 가운데,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외래환자 1000명 당 의심환자는 7∼12세 149.5명, 13∼18세 141.5명, 19∼49세 110.0명, 1∼6세 83.4명 순이다.

병원급(200병상 이상 220곳)의료기관 입원환자 표본감시에선 인플루엔자 입원환자가 2주차 1627명으로 1주차(1468명) 대비 10.8% 증가했다. 보통 외래 환자가 증가하면 시차를 두고 입원환자도 는다. 질병관리청은 “외래환자 증가 후 후향적으로 나타나는 추세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고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 2주차 기준 인플루엔자 검출률은 55.0%로 지난주(62.9%) 대비 7.9%포인트 감소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인 H1N1과 H3N2가 동시에 유행하고 있다. H1N1에 걸려 독감을 앓았더라고 H3N2에 또 걸릴 수 있다는 의미다. 백신을 맞으면 H1N1과 H3N2에 모두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현재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주와 매우 유사해 백신 접종 후 높은 중화능 형성이 확인된다”며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