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마 할퀸 경북 영양군, 올해 ‘영양 산나물축제’ 반쪽 행사로

화마 할퀸 경북 영양군, 올해 ‘영양 산나물축제’ 반쪽 행사로

김상화 기자
입력 2025-04-11 16:47
수정 2025-04-12 07: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월 9~11일 영양읍 일원서 개최
산불 피해 주민, “지금은 축제 안돼”

이미지 확대
영양산나물  축제 참가자들이 일월산 산나물 채취 체험 행사장에서 산나물을 체취하고 있다. 영양군 제공
영양산나물 축제 참가자들이 일월산 산나물 채취 체험 행사장에서 산나물을 체취하고 있다. 영양군 제공


경북 영양군의 대표 축제인 ‘영양산나물축제’가 올해는 반쪽으로 치러진다. 최근 전대미문의 산불로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한 탓이다.

영양군은 5월 9~11일 영양읍 일원에서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영양 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행사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산불 피해로 인해 예년의 ‘영양산나물축제’ 명칭을 전격 변경 개최키로 한 것이다.

또 축제 기간 산불 예방을 위해 매년 축제때 일월산 체험장에서 진행된 산나물 채취 행사가 취소되고, 영양의 힐링 명소 영양자작나무숲 출입도 전면 금지된다.

대신 축제는 영양지역 60~70여 산나물 재배농가 등이 재배 또는 가공한 산나물류 팔아주기 운동으로 진행된다. 축제성 프로그램은 없다. 행사장에 산불재난특별주제관을 설치해 피해 실상 등을 참가자들에게 자세히 알리고 모금행사도 진행한다.

하지만 영양지역에서 축제 개최 반대 목소리도 나온다.

산불 피해 주민들은 “막심한 산불 피해로 영양지역이 온통 초상집인데 축제 개최가 말이 되느냐”며 “지금은 치유와 회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성토했다.

영양군과 영양축제관관광재단은 “최근 영양군 이장협의회 등과 수차례 회의를 거쳐 축제 개최를 최종 결정했다”면서 “올해 산나물 행사가 지역 경기활성화와 재기의 발판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영양에서는 이번 산불로 6명이 숨치고 이재민 189명, 주택 파손 111채, 농축업 103㏊ 등의 피해를 입었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한편 영양군이 지난해 개최한 영양산나물축제에는 관광객 등 12만명이 참가, 60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