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교통사고로 3년간 36명 사망
원인 89%가 ‘졸음·전방주시 태만’

가정의달인 5월에는 가족 단위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고속도로 교통량이 증가하고 사고 위험도 덩달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9명은 졸음과 전방주시 태만 때문인 것으로 집계됐다.
●춘곤증·나른한 날씨 탓 졸음 쏟아져
4일 한국도로공사의 최근 3년(2022 ~2024년) 고속도로 통행량 현황에 따르면 5월의 하루평균 통행량은 516만대로 상반기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3년간 5월에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36명 가운데 32명(88.9%)은 졸음운전과 전방주시 태만이 원인이었다. 1월(78.1%), 6월(70.5%) 등에 비해 높은 비율이다. 봄날 따뜻한 기온과 교통 체증이 운전 피로도를 높여 졸음운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게 도로공사의 설명이다.
졸음운전은 운전자의 위기 대응 속도와 차량 통제 능력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로 주행 중 2~3초만 졸아도 100m를 무방비로 질주하는 것과 같다. 차량 내부 환경도 졸음운전에 영향을 미친다.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켜면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해 뇌로 가는 산소가 줄어 졸음이 유발된다.
●2차 사고 예방 ‘비트밖스’ 기억하세요
졸음운전을 막으려면 장거리 전날 최소 6시간 이상 잠을 깊이 자야 하고 주행 중 주기적으로 환기해야 한다. 운전 중 졸음을 느끼면 즉시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휴식을 취하는 게 좋다.
통행량이 많은 봄철에는 교통사고나 차 고장으로 인해 후속 차량이 추돌해 발생하는 ‘2차 사고’도 유의해야 한다. 2차 사고는 치사율이 49.7%로 일반사고(8.4%)보다 6배 넘게 높아 특히 치명적이다. 도로공사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비트밖스’(‘비’상등 켜고 ‘트’렁크 열고 ‘밖’으로 대피 후 ‘스’마트폰으로 신고)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사고나 고장으로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멈췄을 때 차량의 이상을 알리는 조처를 하고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고 전했다.
2025-05-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