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부산상공회의소 제공
한미 관세협상 진통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와 고환율, 내수부진 등의 영향으로 부산지역 제조업체가 올해 4분기 경기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부산상공회의소 지역 제조기업 25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분기 부산지역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보면 4분기 BSI는 64로 나타났다.
이는 3분기의 81보다 17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최근 5년(20분기)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다. BSI는 100이상이면 경기 호전, 100미만이만 악화로 예상한다는 의미다.
부산 상의는 최근 교착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협상 영향과 함께 국내 소비 둔화, 지역 건설경기 침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부문별로 보면 경영부문에서는 자금사정이 68로 3분기보다 8포인트 하락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 69, 66으로 모두 전분기보다 6포인트 떨어졌다.
대부분 업종의 4분기 BSI가 100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특히 전 분기에 117이었던 조선기자재가 60으로, 화학·고무도 100에서 65로 급락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구인난이 이유로 지목된다.
전기·전자(56), 1차 금속(60), 자동차·부품(77) 등도 고율 관세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사정 때문에 조사 대상 기업 73.7%가 올해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예상 영업에 대한 질문에는 57.5%가 손익분기점 수준으로 답했고, 37.9%는 적자가 날 것으로 우려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소비 부진, 대미 수출관세의 여파로 지역 기업이 느끼는 충격이 상당한 수준”이라며 “기업들이 한계상황에 내몰리지 않도록 정부가 내수 회복, 통상 리스크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