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에서 범죄조직에 납치돼 피살당한 한국인 대학생 박모씨의 부검이 20일 현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부검은 박씨의 시신이 안치된 캄보디아 프놈펜 턱틀라사원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법의관 주도로 우리나라 수사관들 입회하에 이뤄진다. 사진은 19일 턱틀라사원 안치실의 모습. 2025.10.19 연합뉴스
정부가 캄보디아 현지에서 스캠(사기)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1000명 남짓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가운데 실제 가담 인원은 훨씬 많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통계가 나왔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의 차이는 2021년 113명에 불과했으나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지난해 3248명 등 2000~3000명대로 폭증했다.
이는 매년 수천명의 한국인이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귀국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는 수치다. 올해도 8월까지 864명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2024년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은 5476명→3만 5606명→8만 4378명→10만 820명이었다. 같은 기간 캄보디아에서 입국한 한국인은 5363명→3만 2397명→8만 1716명→9만 7572명이다.
올해는 1~8월 6만 7609명이 캄보디아로 향했지만, 6만 6745명만 되돌아왔다.

14일(현지시간) 오후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있는 범죄 단지로 추정되는 건물 모습. 2025.10.14 연합뉴스
여기에 더해 태국, 베트남 등 인접국을 통해 캄보디아로 들어간 뒤 돌아오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란 추정도 나온다.
캄보디아 이민청이 집계한 캄보디아 입국 한국인 수는 2021년 6074명, 2022년 6만 4040명, 2023년 17만 171명, 지난해 19만 2305명, 올해 1월~7월 10만 6686명을 기록했다. 특정 연도의 경우 우리나라 통계보다 2배 가까이 많다.
캄보디아 ‘웬치’(범죄단지) 근무자의 지인 A씨는 연합뉴스에 “한국인이 못해도 2000~3000명 될 것”이라며 “비행기 타고 정직하게 나가는 사람만 있는 게 아니라 중국 등을 거쳐 밀항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A씨는 일부 범죄단지엔 자체 소각장이 있다며 “국경지대 웬치에서는 장기 매매도 이뤄진다. 웬치에서 죽은 한국인이 한두 명이 아닐 것”이라고 했다.
박찬대 의원은 “현지 증언대로라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며 “지난달 30일 대표 발의한 영사조력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하고, 캄보디아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동종 사건이 발생하는 만큼 이에 선제 대응하고 인력·예산이 지원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