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들이 집단 설사 증세를 보여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17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제주시 모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28명이 집단 설사 증세를 보인다는 신고가 16일 접수됐다.
보건당국은 설사증세를 보인 학생과 교사 50여명 중 24시간 이내 3차례 이상 설사와 장염 증세를 보인 학생 27명(3학년 15명·2학년 6명·1학년 6명)과 교사 1명 등 28명을 환자로 분류했다. 환자들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뒤 모두 귀가조치됐으며 현재 가정에 격리돼 있다. 보건당국은 가검물을 채취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학교 급식을 잠정 중단키로 했다.또 학생마다 발생 시기와 증상이 제각각인 만큼 학교급식, 먹는 물(상수도), 방역소독 여부, 식재료 보관실태, 조리실 위생관리 실태 등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있다. 해당 학교는 17일 단축수업만 진행하고 학생들을 일찍 귀가조치했다.
이성욱 제주도 역학조사관은 “설사와 같은 증상이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노로바이러스 등과 유사성이 있지만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며 “정확한 검사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1주일 정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17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제주시 모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28명이 집단 설사 증세를 보인다는 신고가 16일 접수됐다.
보건당국은 설사증세를 보인 학생과 교사 50여명 중 24시간 이내 3차례 이상 설사와 장염 증세를 보인 학생 27명(3학년 15명·2학년 6명·1학년 6명)과 교사 1명 등 28명을 환자로 분류했다. 환자들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뒤 모두 귀가조치됐으며 현재 가정에 격리돼 있다. 보건당국은 가검물을 채취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학교 급식을 잠정 중단키로 했다.또 학생마다 발생 시기와 증상이 제각각인 만큼 학교급식, 먹는 물(상수도), 방역소독 여부, 식재료 보관실태, 조리실 위생관리 실태 등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있다. 해당 학교는 17일 단축수업만 진행하고 학생들을 일찍 귀가조치했다.
이성욱 제주도 역학조사관은 “설사와 같은 증상이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노로바이러스 등과 유사성이 있지만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며 “정확한 검사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1주일 정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