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사고 잇따르자 각국 예방 캠페인

세계에서 15번째로 높은 페루의 곡타 폭포. 위키피디아 캡처
4일(현지시간) 페루의 한국대사관과 AFP통신에 따르면 한국인 관광객 김모 씨가 지난달 28일 아마존 밀림 지역에 있는 곡타 폭포에서 사진을 찍다가 중심을 잃고 540m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다. 곡타 폭포는 세계에서 15번째로 높은 폭포다.
혼자서 페루를 방문한 김 씨는 독일 관광객과 서로 사진을 찍어주다가 추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페루 경찰은 김 씨의 시신을 지난 2일 수습했다.
세계 관광 명소에서 셀카(자신의 모습을 직접 카메라에 담는 것)나 사진을 찍다가 사고가 발생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29일에는 페루 중남부 안데스 산맥에 있는 잉카 후기의 유적지인 마추픽추에서도 독일 관광객이 셀카를 찍다가 추락사했다. 독일 국적의 올리버 파커(51) 씨가 출입제한 구역에 들어가서 셀카를 찍으려다가 300피트(약 91m) 절벽 밑으로 떨어져 숨졌다. 목격자들은 파커 씨가 절벽 위에서 허공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진을 찍으려고 뛰어올랐다가 중심을 잃는 바람에 절벽 아래로 떨어졌다고 전했다.
인도의 크리켓 선수인 라빈드라 자데자(27)는 남다른 사진을 찍고 싶은 욕심에 아내와 함께 멸종 위기 동물인 인도사자를 배경으로 찍은 셀카 사진을 소셜네트워크(SNS)에 올렸다가 급기야 인도 산림 당국의 조사까지 받았다. 부부는 인도 구자라트의 기르 국립공원 및 야생보호구역의 사파리 체험을 하면서 규정을 어기고 버스에서 내려 사자들 속에서 사진을 찍은 것이었다.
지난달에는 태국의 유명 관광지인 ‘콰이강의 다리’에서 셀카에 열중하던 일본 남성이 열차에 치여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SNS 열풍과 함께 특별한 셀카를 남기겠다는 욕심이 각종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면서 미국에서는 ‘셀카가 상어보다 더 위험하다’는 보도까지 나오기도 했다. 미국의 IT(정보기술) 전문매체인 매셔블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셀카를 찍다가 사망한 사람은 최소 12명으로 상어의 공격을 받아 사망한 8명보다 많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SNS 좋아요’ 100만 건도 당신의 생명만큼 값지지 않다”는 표어를 내걸고 각종 캠페인을 벌였다. 미국 공원관리 당국은 방문객들이 야생동물과 위험한 셀카를 찍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원출입 통제에 나서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