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강진이 발생하기 1∼2일 전 주변 지하수 수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드러나 지진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상용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26일 경북 경주시 산내면 지하수 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진이 발생한 지난 12일과 19일에 앞서 11∼12일과 16∼17일에 수위가 평소보다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 관측소는 전국 300여개 가운데 진앙인 경주시 내남면에서 가장 가깝다.
관측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일 지표면에서 179㎝ 아래 암반 지하수가 12일에는 130㎝ 지점까지 올라왔다. 하루 새 49㎝ 상승했다. 12일 이곳에 내린 비의 양은 14㎜에 불과했다. 강수량 90.5㎜를 기록한 지난 3일 상승한 38㎝를 초과했다. 12일 오후 7시 44분 경주 남남서쪽 8.2㎞에서 규모 5.1 전진이 일어난 뒤 오후 8시 33분에 그보다 남쪽인 남남서쪽 8.7㎞에서 규모 5.8 본진이 일어났다.
이미지 확대
초록색은 지하수위 변동, 주황색은 강수량. 부경대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초록색은 지하수위 변동, 주황색은 강수량. 부경대 제공
이 여파로 13일 수위는 지표면 아래 91㎝ 지점까지 올라갔고, 16일에는 81㎝까지 올라가는 등 상승곡선을 그렸다. 그러나 강수량이 25.6㎜에 그친 17일 지하수 수위는 갑자기 지표면 아래 40㎝ 지점까지 무려 39㎝ 올라갔고, 비가 내리지 않은 18일에는 지표면 아래 38㎝ 지점으로 상승했다. 19일 오후 8시 33분쯤 경주 남남서쪽 11㎞에서 규모 4.5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수위는 지표면 아래 31㎝ 지점까지 상승했다. 이후 수위는 큰 변화 없이 미세하게 내려가 23일에는 지표면 아래 36㎝ 지점에 머물렀다. 여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강한 지진에 앞서 지하수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잇따라 나타난 만큼 지진예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1시간 단위로 하는 측정을 분 단위 또는 초 단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