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다단계 하도급으로 공사비 최대 85% 줄였다

불법 다단계 하도급으로 공사비 최대 85% 줄였다

최치봉 기자
입력 2021-06-14 00:38
수정 2021-06-14 0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주 참사’ 부실공사 원인 추정

이미지 확대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의 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붕괴, 도로 위로 건물 잔해가 쏟아져 시내버스 등이 매몰됐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펼치는 모습. 2021.6.9 연합뉴스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의 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붕괴, 도로 위로 건물 잔해가 쏟아져 시내버스 등이 매몰됐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펼치는 모습. 2021.6.9 연합뉴스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4구역 재개발 철거에 이뤄진 ‘다단계 하도급’으로 공사비가 28만원에서 4만원으로 최대 85%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쥐꼬리만 한 공사대금을 받은 재재하도급 업체가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고, 비용 절감을 위한 ‘부실 공사’ 등이 이번 참사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13일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과 재건축조합의 1차 하도급업체인 한솔기업과 다원이앤씨가 실제 공사를 진행한 백솔건설에 재하도급을 준 혐의를 확인했다. 또 경찰은 재하도급을 받은 백솔건설도 다른 장비업체에 재재하도급을 준 혐의를 잡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학동 4구역 재개발 구역의 일반 건축물과 지장물, 폐기물 처리 운반 등을 포함해 건물 철거 비용(3.3㎡당 10만~28만원)이 재재하도급을 거친 끝에 4만원가량(최대 85%)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철거 현장에서 살수가 과다하게 이뤄졌다는 작업장 관계자의 진술을 확보하고, 단시간에 다량으로 뿌려진 물이 건축물 붕괴에 어떻게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참사는 건설 현장의 관행적인 불법 하도급과 안전불감증 등이 빚어낸 전형적인 인재”라면서 “철저한 수사로 참사의 원인을 명확하게 밝히고 건설업계의 불법 관행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21-06-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