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1명꼴로 성희롱 경험… 성추행·성폭행 15%

직장인 5명 중 1명꼴로 성희롱 경험… 성추행·성폭행 15%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4-09-08 15:46
수정 2024-09-08 15: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희롱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성희롱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이미지 확대
성희롱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성희롱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직장인 5명 중 1명꼴로 성희롱 등 성범죄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성범죄 피해 경험’ 관련 설문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직장인들은 먼저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해 본 적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22.6%는 ‘있다’고 했다. 성별로는 여성(26.1%)이 남성(19.1%)보다 7%포인트 높았다.

성희롱을 경험한 시점에 관한 질문에는 ‘1∼3년 이내’가 25.2%로 가장 많았고, ‘1년 이내’와 ‘3∼5년 이내’가 각각 20.8%와 16.4%로 집계됐다.

성희롱 행위자는 ‘임원이 아닌 상급자’(40.7%), ‘사용자’(23.5%), ‘비슷한 직급 동료’(17.7%) 순이었다. ‘피해 이후 자해나 죽음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15%에 달했다.

직장 내 성추행·성폭행 피해 경험 여부에 대해서도 ‘있다’는 응답이 15.1%로 나타났다. 여성(19.7%)과 비정규직(20.8%)의 응답률이 남성(10.6%)과 정규직(11.3%)보다 높았다.

마지막 성추행·성폭행 경험 시점은 ‘1년 이내’가 19.2%, ‘1∼3년 이내’가 24.5%로, 경험자의 43.7%가 3년 이내에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추행·성폭행 수준이 ‘심각했다’는 응답도 54.3%로 집계됐고, 여성(58.2%)과 비정규직(61.4%)의 응답이 남성(41.8%)과 정규직(45.6%)보다 높았다.

직장 내 스토킹 경험에 관한 질문에는 10.6%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스토킹 행위자는 ‘임원이 아닌 상급자’(34.9%)가 가장 많았고, ‘비슷한 직급 동료’(20.2%)가 뒤이었다.

직장갑질119는 지난해 8월 실시한 같은 설문조사와 비교해 피해 경험 기간을 ‘1년 내’로 좁히면 성희롱은 14.2%에서 20.8%로, 성추행·성폭력은 13.8%에서 20.8%로 모두 늘어났다고 밝혔다.

직장갑질119 김세정 노무사는 “1년 사이 성폭력 방지를 위한 법 제도가 마련되거나 개선됐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다”며 “법 제도 개선만으로는 현실을 바꾸기 어렵고, 조직 문화와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