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올해 상위권 대학 인문계 합격권 수능 점수는 지난해보다 4~5점(표준점수 총점) 하락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자연계 합격선 역시 1~2점 정도 하락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배화여고 3학년 학생들이 지난달 27일 교실에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표를 받은 뒤 정시 배치 참고표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오는 19일부터 정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종로구 배화여고 3학년 학생들이 지난달 27일 교실에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표를 받은 뒤 정시 배치 참고표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오는 19일부터 정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이렇게 예상되는 이유는 수능 제도가 변했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주요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어가 선택형이 되면서 어려운 B형을 치른 모집단 수가 줄어든 점과 탐구 영역이 2과목 응시에 2과목 반영으로 바뀐 게 정시 지원에서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까지 수험생들은 탐구 영역 3과목을 선택해 이 가운데 2과목을 반영했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변수 모두 상위권 대학의 합격선을 낮추는 쪽으로 작용할 여지가 많다.
우선 영어B형의 모집단 수가 줄었기 때문에 1등급(상위 4%), 2등급(4~11%), 3등급(11~23%) 등 상위등급 인원도 줄었다. 올해 영어B형 선택자는 68.2%다. 이를 감안하면 1등급 인원은 2.73%(4%×0.682)로 지난해 1등급 인원보다 사실상 줄어든다. 실제 2013학년도 1등급은 2만 5267명이었지만, 올해 B형 1등급은 1만 7075명이다. 즉 올해 높은 등급, 표준점수, 백분위를 받기가 구조적으로 더 어려웠단 얘기다.
탐구 응시 과목수를 2과목으로 줄인 것은 수험생의 선택권을 축소시켜 합격선 하락을 유도할 전망이다. 지난해처럼 3과목을 보고 2과목 성적을 제출할 때에는 못 본 과목을 배제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9일 “국어는 인문계(B형)에서 약 1점의 하락이, 자연계(A형)에서 1점 상승이 예상된다. 자연계 수학B도 응시생이 늘어 약 1점의 상승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오 평가이사는 이어 “중위권 대학 인문계에선 5~6점 정도 점수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12-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