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 여론 무시… 이사진 사퇴를” “금품제공 등 직선제 부작용 줄어”
제26대 서울대 총장 후보자로 성낙인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선출됐지만 선거 과정과 결과를 놓고 불거진 학내 구성원들의 갈등은 좀처럼 봉합되지 않고 있다.서울대 교수협의회와 평의원회는 20일 오후 각각 비상회의를 소집해 전날 총장 후보자 선출 결과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교수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사회는 후순위 후보자(성낙인 교수)를 총장으로 선출하게 된 절차와 근거를 명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사 15명의 전원 사퇴와 재신임을 요구했다. 또 총장 선출 등 지배구조의 구성에 관련된 제반 규정들을 조속히 개정해 앞으로 이와 같은 잘못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의원회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이날 비상회의에서 구성한 소위원회를 통해 22일까지 이사회에 전달할 요구안을 정할 예정이다.
최영찬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민교협) 의장은 “이번 선거는 법인화가 낳은 병폐의 결정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학내 여론을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가 뒤집고, 이를 이사회가 또 뒤집은 것”이라며 “이미 후보자들의 출마 의사가 알려진 상황에서 총추위가 선거 규정을 졸속으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간선제로 바뀌면서 직선제 부작용으로 손꼽혔던 과다한 비용 지출, 금품·향응 제공 등이 줄어들었다는 평가도 나왔다. 한 단과대 학장은 “총추위가 총장 후보 3명을 뽑는 과정에서 이미 학내 의견은 충분히 반영됐다”며 “대중 영합적인 측면이 강했던 직선제의 부작용을 바로잡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학외 인사들을 총장 선거에 참여시키려 했던 간선제의 취지를 잊으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6-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