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입 수시비중 69.9%…역대 최고

2017학년도 대입 수시비중 69.9%…역대 최고

입력 2015-04-30 11:33
수정 2015-04-30 1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년보다 3.2%p 증가…학생부 중심 전형도 확대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이 2017년 대학에 입학할 때 10명 중 7명은 수시 모집으로 진학하게 된다.

또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는 수시모집에서 84개교, 정시모집에서 162개교에서 각각 활용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전국 197개 4년제 대학교의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30일 발표했다.

2017학년도 전체 모집인원은 35만5천745명으로 전년도 36만5천309명보다 9천564명 감소한다.

이 가운데 수시모집 인원은 24만8천669명으로 전년보다 4천921명 증가했다. 전체 모집인원에서 비중은 69.9%로 2016학년도(66.7%)보다 3.2% 포인트 높아졌다.

69.9%는 수시모집 사상 최고 수치다.

수시모집 인원은 2007학년도에 51.5%로 정시모집 인원을 처음 추월했고 2011학년도에 최초로 60%를 넘어섰다.

이어 2012학년도 62.1%, 2013학년도 62.9%, 2014학년 66.2%, 2015학년도 64.0%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2017학년도 정시모집 인원은 10만7천76명으로 30.1%를 기록했다. 전년도보다 1만4천485명 줄어든 규모다.

2017학년도에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종합 등 학생부 중심 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전체 모집인원의 60.3%인 21만4천501명이다.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 중심 전형의 비중은 2014학년도 44.4%에서 2015학년도 55.0%, 2016학년도 57.4%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 수시는 학생부 위주, 정시는 수능 위주의 선발 방식이 정착되는 모습이다.

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중심 전형 비중은 85.8%(21만3천393명)이고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위주 전형이 87.5%(9만3천643명)로 파악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등학생 다수가 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전형을 통해 대학에 가는 제도가 정착되고 있다”며 “학생부는 학생을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수시모집에서 논술을 시행하는 대학은 28개교로 전년과 같지만, 모집인원은 488명 감소한 1만4천861명이다.

또 적성시험을 보는 대학은 전년보다 1개교 줄어든 10곳이고 모집인원은 4천562명으로 77명 감소했다.

지역인재 특별전형의 선발 규모는 81개교, 1만120명으로 전년보다 140명 늘었다.

2017학년도 수능에서 필수과목으로 처음 운영되는 한국사는 수시모집에서 84개교, 정시모집에서 162개교가 반영하기로 했다.

수시모집에서 최저학력기준으로 삼는 대학은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한국외대 등 29개교이고, 응시 여부를 확인하는 대학은 동국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등 55개교다.

정시모집의 경우 162개교 가운데 최저학력기준으로 하는 곳은 서울교대 등 8개교이고 응시 여부만 확인하는 곳은 경성대, 청주대 등 50개교다.

건국대, 서강대, 서울대 등 80개교는 한국사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경희대, 서울과기대 등 23개교는 점수 합산에 활용한다. 백석대는 한국사를 동점자 처리 기준에 적용하기로 했다.

대교협은 이번 시행계획을 책자로 만들어 고교, 시·도교육청, 관련기관에 배포하고 ‘KCUE 대입정보’ 홈페이지(http://univ.kcue.or.kr)에 게재할 예정이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