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우느라 A4 2000장 썼어” 77세 어르신의 공부법

“외우느라 A4 2000장 썼어” 77세 어르신의 공부법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08-24 23:10
수정 2015-08-25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고령 고졸 검정고시 합격 이한용씨

“문제 풀고 정답 맞춰 보는 재미에 빠져 거의 매일 새벽 2~3시까지 공부했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어지러움을 느낄 정도였죠.”

이한용씨
이한용씨
서울시교육청이 25일 합격자를 발표하는 올해 두 번째 검정고시에서 모두 4974명이 초·중·고 졸업 학력을 얻게 됐다. 이 가운데 이한용(77·경기 고양시)씨는 고졸 검정고시 합격자 3485명 중 최고령이다. 1938년생인 그는 6·25전쟁과 제주 4·3사건을 직접 몸으로 겪었다. 제주시 한림중학교를 1952년 졸업했지만, 더이상 공부를 이어 갈 수 없었다.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혼란스런 사회상 때문에 고교 진학은 언감생심이었다. “1967년 서울에 올라왔어요. 왕십리와 도봉동 일대 공장에서 일했지요. 이후 동아건설에 취직해 30년 넘게 근무하며 가정을 꾸려 왔지요.”

그는 14년 전 아내가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병 간호를 위해 회사를 그만뒀다. 극진한 병구완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8년 전 세상을 떴다. 충격은 컸다. 삶의 목표가 희미해져 버렸다. 고양시 지역복지관과 동네 도서관을 다니며 책을 읽는 게 위안을 얻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삶의 낙이었다.

그에게 지난 4월 아들(39)이 책을 몇 권 가져왔다. 검정고시 기출 문제집이었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학벌 때문에 회사 다니면서 자존심 많이 상하셨던 것 잘 안다”며 검정고시 도전을 권했다. 하지만 아들의 제안에 겁이 더럭 났다고 한다.

“늦은 나이에 공부한다는 게 많이 창피했어요. 나이 들어 기억력도 떨어지는데 공부라니. 더군다나 실패하면 어떻게 아들의 얼굴을 보나 싶은 생각도 들었죠.” 망설이고 있는데 도서관에서 읽은 책의 한 구절이 가슴에 박혔다. ‘실패부터 생각하면 도전이 두렵다. 성공한 뒤의 기쁨부터 생각하고 도전하라.’

“실패가 두려워 주저앉는 못난 아비가 되고 싶지 않았어요.” 6월부터 공부를 시작했다. 눈이 침침할 정도로 책을 읽었다. 공부하느라 밥도 가끔 걸렀다. 처음 접한 수학은 너무 두려웠다. 외계어 같은 화학기호는 머릿속에 안 들어왔다. “그냥 외우는 수밖에 없었죠. 잘 안 외워져서 무조건 종이에 쓰면서 공부했어요. 그렇게 써 젖힌 A4 용지가 나중에 보니 2000장 정도 되더라고요.”

두 달 동안 공부해 합격증을 손에 쥔 이씨는 요즘 고민에 빠졌다. 일흔일곱에 찾아온 진로에 대한 고민이다. “딸들은 방송대를 가라고 하고, 아들은 전문대학에 가라고 합니다. 그 선택이 공부만큼이나 어렵네요.”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을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나경원 동작을 국회의원,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 등도 함께했다. 이 의원은 이날 정근식 교육감에게 흑석고 남측에 학생 보행로를 추가 조성해줄 것을 촉구했다. 당초 설계상 흑석고 남측 출입문은 차량 진출입 용도로만 계획됐다. 이에 흑석고로 자녀를 진학시킬 예정인 학부모들로부터 통학 편의를 위해 남측에도 보행로를 조성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제기된 바 있다. 이 의원은 또한 ▲개교와 동시에 수준 있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경험이 풍부한 전문교사를 적극 배치할 것 ▲재학생 수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현재 4개 층인 교사동을 5개 층까지 증축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할 것 ▲안전한 급식실, 과학실 등을 조성해줄 것 ▲면학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내부 디자인을 채용할 것 ▲밝은 색상의 외장 벽돌을 사용해 밝은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것 등을 교육감에게 주문했다. 정근식 교육감은 흑석고 남측 보행로를 포함한 이 의원의 주문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현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8-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