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1> 박물관에서 만난 직박구리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1> 박물관에서 만난 직박구리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0-26 18:14
수정 2015-10-26 18: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새밖에 모르는 아빠 대신할 ‘국립’ 자연사박물관 있었으면

제 가족은 하루에 한 번씩 고양이들에게 밥을 줍니다. 지난여름 아파트 1층인 저희 집과 지하 주차장 틈 사이에 고양이가 새끼 세 마리를 낳은 게 인연이 됐습니다. 저러다 굶어 죽겠지 싶어 베란다 창문으로 보이는 마당에 플라스틱 그릇을 놓고 사료를 사다 주기 시작했습니다.

밥을 준 첫날. 창가에서 한 시간여를 기다리자 고양이가 어슬렁거리며 오더니 마치 자기 밥인 것처럼 먹기 시작했습니다. 여섯 살짜리 아들과 네 살짜리 딸은 고양이가 밥 먹는 모습을 보고 괴성을 질러대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은 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게 고양이가 밥 먹는 모습은 동물원 사파리 구경과도 같은 풍경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고양이가 밥을 언제 먹는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고양이 밥 먹는 모습을 보려고 하루 종일 창문 옆에서 기다리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습니다. 영화 ‘미션 임파서블’에서 봤던 것처럼 적외선 센서 같은 것을 플라스틱 그릇 주위에 달고, 고양이가 왔을 때 경보를 울려주도록 해볼까. 둔한 아빠 머리에서 나온 꾀는 고작 이 정도였습니다. 창밖을 보며 고민하던 그때, 갑자기 시끄러운 새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참새보다 조금 큰 회색빛의 새였는데, 뺨에 노란색 털이 나 있는 녀석이었습니다. 이날 따라 유독 시끄러웠던 이유는 고양이 때문이었습니다. 근처에 새끼가 있어서인지, 고양이가 자기 영역에 들어와서인지, 새는 밥 먹는 고양이를 보며 마치 경고하듯 시끄럽게 지저귀었습니다. 귀가 아플 정도로 우는 새를 보던 아들이 물었습니다. “아빠, 저 새는 이름이 뭐야?” 새라면 참새하고 까치밖에 모르는 제가 이름이 뭔지 알 리 없죠. 그래서 저는 새의 이름을 우선 ‘고양이 감지새’, 폼 나게 ‘캣 센서 버드’라고 정해 놨습니다.

캣 센서 버드의 진짜 이름을 알게 된 것은 며칠 뒤였습니다. 아들이 어느 날 자랑스럽게 “아빠, 저 새는 직박구리야”라고 알려줬습니다. 어떻게 알았느냐고 묻자 “박물관에서 봤다”는 겁니다. 아내와 함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갔던 아들이 백여 마리 가까운 새들의 박제 속에서 직박구리를 찾아내 “바로 이 새야!”라고 했다고 합니다. 아이가 직박구리를 찾아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2003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처음으로 문을 연 국내 유일의 공립 자연사박물관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3만 4000여점의 자연사 관련 표본이 있는 곳으로, 지구의 역사와 공룡 자료 등 상설 전시를 비롯해 아이들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두루 잘 갖춰졌습니다. 박물관 로비에 들어서서 마주한 대형 육식공룡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뼈 화석을 보고 놀랐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책으로 보는 것보다 직접 보고 체험하면 학습 효과가 더 큰 것은 당연한 일. 2년 전 이곳을 알게 되고서 제 가족은 두세 달에 한 번씩은 이곳을 찾습니다.

선진국은 1800년대에 이미 국립 자연사박물관을 건립했습니다. 영화 ‘박물관은 살아있다’의 배경인 미국 뉴욕의 자연사박물관은 세계 최대인 9만㎡ 규모를 자랑합니다. 프랑스 파리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소장 자료는 1억점 이상입니다. 스스로 ‘교육강국’이라 하는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국립 자연사박물관이 없는 유일한 나라입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찾을 때마다 마음 한쪽에 안타까움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gjkim@seoul.co.kr



2015-10-2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