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강국보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 낮은 한국

교육 강국보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 낮은 한국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2-15 22:54
수정 2016-02-1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OECD 64개국 조사… 싱가포르·홍콩 등과 상위권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뜻하는 ‘학습부진아’ 줄이기는 모든 나라의 과제 중 하나다. 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학습부진아 수가 어느 정도일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34개 회원국을 포함해 64개 국·도시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초학력 미달 학생’(Low-Performing Students)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일본이나 핀란드보다 그 숫자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1300만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2학년도 학업성취도(PISA)를 분석했다. 그 결과 450만명(28.8%) 이상이 읽기, 수학, 과학 과목에서 기초학력 수준에 미달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은 PISA에서 ‘레벨2’(Level2) 미만 학생을 뜻한다. 이는 한 가지 질문에 대해서만 답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복합적인 정보를 토대로 추론하기 어려운 학생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눈금을 보고 탱크에 기름이 얼마나 남았는지 계산하거나 아스피린 병의 투약 지시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4명 중 1명꼴이란 뜻이다.

한국은 수학, 읽기, 과학 등 3개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각각 9.1%, 7.6%, 6.6%였다. 중국 상하이, 싱가포르, 홍콩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하지만 나라별로 비교할 경우 일본, 핀란드, 스웨덴 등 이른바 ‘교육강국’으로 불리는 나라를 앞질러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가장 낮았다. OECD는 이런 학생 숫자를 줄이기 위해 “교육정책 우선 순위를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 감소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해 알맞은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가능한 한 조기에 이들을 위한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2-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