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년 40명도 안 돼…4년 뒤 서울 초등학교 6곳 중 1곳 ‘미니학교’

한 학년 40명도 안 돼…4년 뒤 서울 초등학교 6곳 중 1곳 ‘미니학교’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2-15 16:49
수정 2024-02-15 1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교당 학생 수 400명대까지 떨어져
방과후 수업·운동회 등 단체활동 힘들어
학령인구 절벽…학교 통폐합 확산 우려”

이미지 확대
저출생 현상이 이어지면서 불과 2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 초·중·고교생 수가 5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됐다. 연합뉴스
저출생 현상이 이어지면서 불과 2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 초·중·고교생 수가 5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됐다. 연합뉴스
4년 뒤 서울 초등학교 6곳 가운데 1곳은 한 학년에 40명도 안 되는 미니학교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 학교의 전체 학생 수가 240명 이하로 학급당 평균 20명씩, 한 학년에 2개 학급만 개설된다는 뜻으로 당장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이나 운동회, 현장학습은 물론 급식 단가조차 맞추기 어려워져 이들 미니학교를 중심으로 통폐합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15일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2024~2028학년도 초등학교 배치계획’ 보면 전체 학생 수가 240명 이하인 소규모 초등학교는 올해 69곳에서 4년 뒤인 2028년 101곳으로 대폭 늘어난다. 이는 서울 전체 초등학교 수(604개·휴교 제외)의 16.5%에 달한다.

이미지 확대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서 열린 신입생 예비소집에서 예비 초등학생이 교실을 구경하고 있다. 2024.1.4 연합뉴스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서 열린 신입생 예비소집에서 예비 초등학생이 교실을 구경하고 있다. 2024.1.4 연합뉴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학교당 평균 학생 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올해 서울 초등학생 수는 올해 36만 8104명에서 매년 1만2000명~1만7000명 줄어들어 4년 뒤에는 30만 3412명까지 떨어진다. 학교당 평균 학생 수도 올해 608명에서 ▲2025년 578명 ▲2026년 555명 ▲2027년 526명 등으로 감소하다가 2028년에는 496명으로 400명대까지 떨어진다.

지역별로 보면 소규모 초등학교는 2028년 기준 서울 북부지역(18곳)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측되고 이어 중부지역(15곳), 남부지역(13곳), 강서양천·성동광진(9곳) 등이 뒤를 잇는다. 소규모 학교의 평균 학급수는 10개, 학급당 평균 학생 수는 16.6명으로 예측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구도심이거나 인구가 고령화된 곳에서 소규모 학교가 많이 나온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인구 절벽에 계속되며 폐교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폐교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2024.2.13 연합뉴스
인구 절벽에 계속되며 폐교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폐교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2024.2.13 연합뉴스
미니 초등학교가 늘어난다고 해서 당장 통폐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장기적으로는 학생 수에 맞춰 학교 개편 논의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지난해에도 광진구의 화양초가 문을 닫았고 도봉구 도봉고, 성동구 덕수고, 성수공고 등이 오는 3월 1일 자로 폐교될 예정이다.

학생 수가 줄어들면 학교에서 체육이나 미술 수업 시간에 팀을 꾸려서 하는 단체 활동을 진행하기 어려워지고 운동회나 단체학습 같은 행사도 계획하기 힘들어진다. 학생 입장에서도 폭넓은 교우관계를 맺기 어려워지고 학교 폭력 같은 갈등이 발생했을 때도 대처가 힘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미니 학교는 교직원 수도 적어 교사 1인당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늘게 돼 수업과 학생 상담, 지도 등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수는 줄지만 학교가 필요한 여건을 고려해서 통폐합한다”며 “학생 수가 줄어든다고 해서 무조건 통폐합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이미지 확대
그래픽 연합뉴스
그래픽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