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지난해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서울 주요 대학 합격선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종로학원은 14일 수험생의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대학 정시 합격선 예상 점수(원점수 기준)를 발표했다. 국어, 수학, 탐구영역 원점수 합산 총 300점 만점이 기준이다.
우선 서울대 경영대학은 284점(지난해 대비 1점 하락), 연세대·고려대 경영 280점(지난해 대비 각 1점 상승), 성균관대 글로벌경영 279점(지난해 대비 8점 상승),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지난해 대비 1점 상승)으로 예상됐다. 종로학원은 “수시 지원에서 문과생 증가와 사회탐구 과목 고득점자 증가 등이 문과생 상위권과 중위권 상승 요인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자연 계열은 서울대 의예과가 294점(지난해와 동일), 연세대 의예과 293점(지난해 대비 1점 상승), 고려대 의과대학 288점(지난해 대비 2점 하락), 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의예과 292점(각 지난해 대비 1점 상승) 수준에서 합격선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됐다. 수도권 의대는 285점, 지방권 의대는 275점 이상을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는 273점,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271점,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269점,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 266점,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268점으로 전망됐다.
종로학원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에 합격하려면 인문계의 경우 267점, 자연계는 262점을 받아야 할 것으로 봤다. 종로학원은 “2026학년도 정시에서는 문과 경쟁이 이과보다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12월 5일 수능 채점 결과 공개 이후 변환표준점수 채점 방식에 따른 유불리, 대학별 반영 방식 등을 면밀하게 계산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