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다 미세먼지 더 짙은 경기도, 대체 왜?

서울보다 미세먼지 더 짙은 경기도, 대체 왜?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5-27 15:32
수정 2016-05-27 15: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세먼지 서울’
’미세먼지 서울’ 서울시가 경기도와 인천에서 진입하는 경유버스 1700대를 천연가스버스(CNG)로 전면 교체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27일 오전 서울 경복궁 주차장에 관광버스들이 주차돼 있다. 한편 이날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날부터 축적된 국내외 미세먼지 영향과 대기정체로 인해 전 권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이겠다고 전망했다. 2016.5.27
연합뉴스
하루가 멀다고 발령되는 오존·미세먼지 주의보로 경기도민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오존주의보는 10년 전보다 두 배는 더 빈번하게 발령되고 있으며, 미세먼지로 파란 하늘을 볼 수 있는 날은 손에 꼽을 정도다.

경기도의 인구밀도는 1㎢당 서울의 10분의 1도 되지 않지만, 자동차와 건설사업장 등이 많은 지역적인 특성상 미세먼지 농도가 더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배출요인으로 자동차, 특히 경유가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관련 대책 마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오존주의보 발령 증가추세…미세먼지 오염도는 환경기준 ‘초과’

지난해 경기지역에는 모두 13일(27회) 동안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것으로 확인됐다.

7일(17)회 동안 발령됐던 2006년과 비교해 두 배나 늘었다.

오존의 연평균 농도도 짙어지고 있다.

2006년 0.019ppm이던 평균값이 2007년에 0.02ppm로 오르더니 2014년과 2015년에는 0.025pppm으로 나타났다.

오존주의보는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에 따라 1시간 평균 0.12ppm 이상일 때 발령된다.

오존(O₃)은 강한 직사광선과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반응해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다.

적절한 양의 오존은 살균, 탈취 등에 이용돼 이로운 측면도 있지만, 일정 기준을 넘은 오존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가슴 통증, 기침, 메스꺼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경우 기관지염, 심장질환, 폐기종, 천식 등이 악화한다.

오존과 함께 주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손꼽히는 미세먼지(PM10)도 심각한 수준이다.

올해만 경기지역에 미세먼지 주의보는 22일(48회) 동안 발령됐다. 미세먼지 주의보는 시간당 평균 150㎍/㎥를 넘을 때 발령된다.

정부의 배출가스 저감정책과 여타 환경 정책으로 10년간 수도권 미세먼지 오염도는 감소하고 있지만, 2014년 경기도환경보건연구원이 제출한 대기오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미세먼지 연평균 환경기준 (50㎍/㎥) 이하 지역은 6개 시·군에 불과하다.

나머지 25개 시·군의 오염도는 51∼70㎍/㎥을 보였다.

같은해 시·도별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해보니 경기가 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충북 52㎍/㎥, 전북 51㎍/㎥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내 인천 49㎍/㎥, 서울 46㎍/㎥보다도 오염도가 높았다.

미세먼지는 흙먼지인 황사와 달리 화석연료 연소, 공장·자동차 배출가스 물질 등으로 구성된다.

입자 직경이 10㎛(0.001㎝) 이하, 머리카락 굵기 6분의 1에 불과한 미세먼지를 들이마시면 기침이나 호흡곤란, 천식 증상이 발생하는 등 폐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1군(Group 1)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 경기도 인구급증…‘자동차·공장 등 전국 최다’

경기도내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사업장과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공사장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도내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는 1만6천800개소로 집계됐다.

2012년(1만6천300개소)보다 3.1% 증가하고 2009년(1만5천400개소)보다 9%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 기후대기과 관계자는 “경기도 인구밀도는 서울과 비교해 10분의 1밖에 안 되지만, 인구가 1천220만명으로 전국 인구 4명 중 한명 꼴이다”라며 “서울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은 자동차 이용률도 전국에서 가장 높고 배출대기 사업장과 건설장이 단연 많다보니 이같은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총량에서 보통 30∼5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경기도는 인구, 자동차, 공장 등 미세먼지 배출원이 가장 많은 탓에 다른 지역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최대 주범은 자동차 배기가스라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미세먼지 전체 배출량의 약 48%는 비산먼지(일정한 배출구를 거치지 않고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먼지)에서 발생한다.

배출 요인별로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가장 많고, 산업(발전, 소각), 비산업연소, 건설기계 등 순이다.

오존도 차량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오존주의보가 내려지면 당국은 되도록 차량 이용을 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한다.

경기도통계연보를 보면 경기도에 등록된 자동차 수는 2004년 330만여대, 2006년 360만여대, 2008년 380만여대, 2013년 450만여대로 매년 늘고 있다.

특히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는 2014년 보고서를 통해 대도시 질소산화물 농도 개선 미흡의 원인으로 실도로 조건에서 ‘경유차(디젤차)’의 질소산화물이 과다하게 배출되는 점을 지적했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도 수도권 미세먼지의 40%가 경유차에서 발생한다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도내 등록차량 500여대 중 경유차량은 200만여대며, 경기도와 서울시를 오가는 경유버스는 1천500여대로 경기도는 추정하고 있다.

◇ 전문가 “오염물질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경기 등 대도심에서 주된 미세먼지의 가장 큰 원인은 경유차”라며 “대기는 점점 오염되고 있는데, 미세먼지나 오존주의보가 발령될 때마다 외출을 자제하라는 식의 당부는 더는 안 된다. 도로에서 경유차 자체를 줄여 오염물질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노후경유차에 대한 폐차 보조금 확대 방안이나 경유에 대한 유류보조금 타당성 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면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과 직결된 만큼 오염원 관리 감독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내달 중순을 목표로 관계부처와 협의해 미세먼지 최소화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 미세먼지 발생량의 15∼20%(수도권은 30∼40%)를 배출시키는 자동차, 특히 자동차 미세먼지 양의 70%를 차지하는 경유차를 줄일 수 있는 대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관계자는 “단계적으로 도내 경유버스를 액화천연가스(CNG) 버스로 교체할 것을 유도하고, 매연배출 저감장치 부착 사업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는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으로 저감장치(1대당 200만∼700만원) 부착(22만7천대), 조기 폐차(13만3천대), 저공해 엔진(LPG) 개조(9만1천대) 등 사업을 벌여 2004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경유차 45만1천대에 1조2천239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운수업체(도내 60곳)에 1천200만원(국비 50%·지방비 50%)을 지원해 경유버스에서 CNG버스로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