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꽁꽁 언 ‘폭포’

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꽁꽁 언 ‘폭포’

류정임 기자
입력 2022-01-05 14:28
수정 2022-01-05 14: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한(小寒) 때가 대한(大寒) 때보다 춥다는 속설이 있다. 과거 기온을 보면 소한 때 강추위를 맞은 이들의 ‘엄살’로 여겨지지만, 기후변화로 점차 ‘사실’이 되고 있다.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49년간 소한과 대한 전국 평균기온을 비교하면 소한 때가 대한 때보다 기온이 낮았던 적은 25번이고 반대인 경우는 24번으로 사실상 ‘무승부’였다.

평균기온이 영하인 적은 소한과 대한 모두 28번으로 같았다.

원래 가장 추워야 할 때는 연중 낮은 제일 짧고 밤은 제일 긴 동지(冬至) 때다.

일조시간과 일사량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다만 땅이 식는 시간이 있어 보통 동지에서 약 3주 지난 소한과 대한 사이 때가 가장 춥고 그러다 보니 ‘소한 때가 제일 춥다’라는 인식이 생긴 것이다.

소한보다 보름 늦은 대한 때는 추위에 적응이 된 상태인 경우가 많은 점도 이러한 인식을 강화한 요인으로 보인다.

기후변화로 대한 때 기온이 오르면서 소한이 대한보다 춥다는 말은 점차 ‘사실’로 바뀌고 있다.

1973년부터 1999년까지 27년간 소한 평균기온이 대한보다 낮은 적이 11번이고 반대가 16번이다. 2000년부터 작년까지는 22년 중 14번 소한 평균기온이 대한보다 낮았고 반대의 경우가 8번이었다.

기상청이 작년 발간한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1912~1940년은 대한 평균기온이 영하 2.1도로 소한 평균기온(영하 1.2도)보다 낮았으나 1991~2020년은 소한 평균기온(영상 0.8도)이 대한 평균기온(영상 0.9도)보다 낮았다.

대한 평균기온 상승 폭(3도)이 소한(2도)보다 컸기 때문이다.

앞으론 기온이 오르고 ‘겨울’이 사라지면서 소한과 대한 기온을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해질지도 모른다.

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 인 5일 강원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직탕폭포가 이어진 한파에 꽁꽁 얼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