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 파종 놓치고·수발아 피해 등 농가 시름

‘잦은 비’ 파종 놓치고·수발아 피해 등 농가 시름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5-10-18 10:00
수정 2025-10-18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식 후 지속적 강우로 발아가 잘 되지 않은 태안 마늘밭. 태안군 제공
정식 후 지속적 강우로 발아가 잘 되지 않은 태안 마늘밭. 태안군 제공


6쪽 마늘로 유명한 충남 태안군과 서산시 마늘 농가가 최근 잦은 비로 파종이 지연돼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청양군에서는 벼 이삭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穗發芽)’ 피해까지 확산하며 농업 전반이 비상이다.

두 배 많은 강수일…마늘 파종 적기 놓쳐
잦은 강우로 정식률 5%대 추정
파종 지연, 동해·습해·병해충 등 우려
태안군은 현재 지역 마늘의 모종을 밭에 옮겨심는 정식률은 5% 미만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18일 밝혔다.

이 같은 이유는 올해 마늘 파종기(9월 1일~10월 12일) 동안 강수일수가 지난해 12일보다 두 배 많은 24일에 달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강수량은 지난해 372㎜보다 92㎜ 많은 464㎜를 기록했다.

잦은 비로 토양 수분 함량이 높아지면서 밭을 갈고 모종을 심는 경운 및 파종 작업이 불가능한 날이 많아지면서 농가들이 적기를 놓치게 된 것이다.

파종 시기가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까지 늦어질 경우, 내년도 마늘 수확량은 평년 대비 5~30%가량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태안과 인접한 서산 지역 역시 계약재배 농가 200여 곳 대부분이 파종 시기에 어려움을 겪는 등 상황은 비슷하다.

태안군 관계자는 “늦더라도 정식 시기를 놓치지 않고 월동 전 생육 환경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파종 지연에 따른 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가의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했다.

청양, 가을 잦은 비로 벼 ‘수발아’ 피해
내년 종자 공급난 우려
“자가채종종자 확보로 준비해야”
이미지 확대
이삭상태에서 발아된 수발아의 모습. 청양군 제공
이삭상태에서 발아된 수발아의 모습. 청양군 제공


마늘 파종 농가뿐 아니라 아직 벼 수확을 마치지 못한 농가들도 초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잦은 강우로 인해 벼 이삭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 피해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청양군은 공공비축미 수매 품종인 삼광벼와 친들벼의 전체 재배면적(4628ha) 중 대부분이 수발아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청양군은 최근 몇 년간 가을철 고온다습한 기상 여건이 반복되면서 수발아 피해가 누적된 것으로 파악한다.

더 큰 문제는 내년도 종자 공급 차질이다. 청양군의 벼 재배면적을 고려할 때 2025년 정부 보급종 공급 예정량인 4만 1160kg은 필요 종자량의 17.8% 수준에 불과하며, 평년 대비 35% 미만으로 낮다.

청양군 관계자는 “올해도 여물 때 비가 잦아 수발아 발생이 확인된다”며 “내년도 종자 공급 차질이 불가피한 만큼, 각 농가에서 순도와 활력이 확보된 자가채종종자를 미리 준비해 달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