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혈관 플라크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혈관 플라크

입력 2011-03-07 00:00
수정 2011-03-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플라크 하면 치석을 먼저 생각합니다. 그러나 플라크는 혈관에서도 생깁니다. 흔히 말하는 혈관의 노화란 간단하게 말해 혈관이 싱싱하고 부드러워 탄력 있는 상태가 아니라 딱딱하게 변하는 경화현상을 말합니다. 이거야 자연스러운 변화여서 누구라도 피할 수 없지요. 문제는 여기에 적절하지 못한 식생활과 생활습관, 스트레스가 더해지면 혈관 안쪽의 내피 부위에 지방이나 나쁜 콜레스테롤(HDL)이 엉겨붙게 되고, 이걸 알아챈 몸은 즉시 대식세포를 보내 이런 이물질을 먹어치우도록 합니다. 이때문에 혈관의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된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이 반복되고 문제의 규모가 커지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지방 등을 잔뜩 먹어치워 비대해진 대식세포가 그대로 혈관 내벽에 엉겨붙어 혹을 만드는데, 이것을 플라크라고 합니다. 이 플라크는 생각보다 위험합니다. 흐물흐물한 플라크 조직은 쉽게 터지거나 망가지는데, 이때 이걸 복구하려고 다시 다량의 혈소판과 백혈구가 모여들어 핏덩어리가 만들어지지요. 바로 혈전입니다. 이 혈전은 순식간에 혈관을 막아버립니다. 이런 상황이 뇌 부위에서 생기면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 심장 부위에 생기면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이 됩니다.

인체의 혈관은 총연장이 10만∼12만㎞나 되니 언제, 어디서 문제가 생길지를 예측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그렇다고 죽고 사는 일을 운에 맡길 수는 없는 일이지요. 그래서 입이 닳도록 말하는 겁니다. 동물성 지방 적게 먹고, 규칙적으로 운동도 하고, 일상적인 스트레스도 잘 관리해야 한다고. 답은 이미 오래전에 나와 있었습니다. 다만, 우리가 못 들은 척했을 뿐입니다.

jeshim@seoul.co.kr

2011-03-0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