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반증 환자 年 3.29% 증가

백반증 환자 年 3.29% 증가

입력 2014-06-23 00:00
수정 2014-06-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9월 최다… 자외선 피하길

몸에 흰색 반점이 생기는 ‘백반증’ 환자가 지난 5년간 연평균 3.2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진료 인원 추이를 보면 자외선 노출이 많은 7~9월 사이 환자가 가장 많아 요즘 같은 때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백반증을 피부색을 구성하는 멜라닌 세포가 소실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흰색 반점이 피부에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성인이 되면서 얼굴이 하얗게 변한 팝스타 마이클 잭슨도 백반증 환자였다. 백반증은 피부 변화 이외에 별다른 자각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외모 콤플렉스로 인한 대인기피증이나 우울증을 겪기도 한다. 세계 인구의 1%가 이 병을 앓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추정 환자가 40만명이다. 건강보험공단이 20일 지난 5년간 백반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에는 70세 이상 환자가 8.68%로 가장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진료비 증가율도 70세 이상이 14.48%로 가장 높았고, 50대(10.73%)와 60대(10.54%)에서 높게 나타났다.

백반증은 유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원인은 없다. 서울대병원은 백반증 환자를 10년 이상 관찰해 비타민과 엽산과 같은 영양성분의 결핍이 주요 원인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백반증은 강한 햇볕에 노출될 경우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발라야 한다. 또 가급적 긴소매를 입어 자외선이 닿는 것을 피해야 한다. 자주 상처를 입는 부위에 백반증이 새로 생길 수 있으므로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거나 외상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6-2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