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쩡하던 사람이 갑자기 숨쉬기 힘들어하면서 숨을 깊고 빠르게 내쉬고 손발이 저린 느낌을 호소하면 주변 사람들은 당황하기 마련이다. 이를 과호흡증후군이라 한다. 평상시 건강하던 사람도 급격한 감정적 변화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런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홍원표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사업팀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홍원표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사업팀장
정상적으로 호흡할 때 우리의 몸은 공기 중의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하게(37~43㎜Hg) 유지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인지 과하게 호흡을 하면 이산화탄소를 너무 많이 배출하게 되고,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도 정상 아래로 떨어진다. 이럴 때 환자는 어지러움, 불안감, 공포감, 손발의 저림 증상을 호소하면서 심하면 경련까지 일으키기도 한다.
호흡은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 변화나 혈액의 대사상태에 따라 조절되지만, 스트레스 같은 정신적 변화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평상시 건강하던 사람도 가족과 심하게 다퉜거나 갑자기 불안해할 때, 깜짝 놀라거나 일상 생활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과호흡증후군이 올 수 있다.
다른 기질적 원인(폐·심장·당뇨·갑상선 등)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생한 과호흡증후군은 주변 사람들이 호흡을 천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다. 빠르고 깊게 호흡을 하면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고 말해 주고서 환자로 하여금 호흡을 느리게 하거나 잠시 멈추게 한다. 숨을 잠시 멈추면 상태가 금방 안정된다. 만약 환자가 스스로 호흡 속도나 호흡량을 줄이지 못하면 폭이 넓은 대롱이나 빨대, 혹은 종이를 말아쥐고 입에 갖다대고서 호흡하도록 한다. 이러면 호흡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짙어져 증상이 호전된다.
과호흡증후군이 왔을 때 대개 사람들은 환자의 손발부터 주무르려고 하는데, 이런 응급처치는 효과가 없다. 종이봉지나 비닐봉지를 환자 머리에 씌워 호흡하게 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여주는 데는 효과적이긴 하지만 의도하지 않은 저산소 혈증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심리적 원인에 의한 과호흡이 아니거나 기저질환이 있어 과호흡증후군이 온 환자에게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크게 문제 될 수 있다.
홍원표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사업팀장
2014-08-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