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에이즈 실태 독립적 연구 뿌듯해요”

“남아공 에이즈 실태 독립적 연구 뿌듯해요”

입력 2014-09-11 00:00
수정 2014-09-11 0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대 의전원생 최세진·유현석씨, 현지·하버드대 교수와 공동 착수

“사회적 스티그마(낙인), 지리·환경적 요인, 성교육 빈약 탓에 남아공에서는 에이즈 치료약 보급률과 콘돔 이용률이 매우 낮았습니다. 그 결과 10명에 한 명꼴로 에이즈 감염자였습니다.”

이미지 확대
서울대 의대 연구장학 프로그램인 ‘황준식 펠로십’ 1기로 뽑힌 최세진(왼쪽)씨와 유현석(맨 오른쪽)씨가 지난 7월 3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카와줄루나탈 지역의 한 병원 앞에서 간호사들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서울대 의대 연구장학 프로그램인 ‘황준식 펠로십’ 1기로 뽑힌 최세진(왼쪽)씨와 유현석(맨 오른쪽)씨가 지난 7월 3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카와줄루나탈 지역의 한 병원 앞에서 간호사들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지난 7월 21일부터 2주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방문 연구를 다녀온 서울대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 1학년 최세진(25)·유현석(24)씨는 10일 4대1의 경쟁률을 뚫고 이번 프로젝트를 참여한 과정을 소개했다. 지난해 황준식(88) 전 서울대 교수가 모교에 5억원을 기부하면서 올해부터 시행된 펠로십 프로그램(연구지원 장학금)에는 서울대 의대·의전원 학생들로 구성된 8개팀이 도전했다. 연구 주제는 저개발국 및 개발도상국 보건 문제로 한정됐다.

올 초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최씨와 미국 스탠퍼드대, 매사추세츠공과대(MIT)에서 각각 생화학 학·석사 학위를 딴 유씨는 최고점을 받아 황준식 펠로십 1기에 뽑혔다. 최씨는 “공고를 보자마자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정책), 빈부격차, 높은 에이즈 감염률(세계 4위)로 알려진 남아공을 목적지로 정했다”면서 “빈부격차와 에이즈 치료의 질적 수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해외 연구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유씨는 “남아공 부유층은 민간 의료기관을 이용해 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었다”면서 “빈부격차 대신 강수·교통 등 지리·환경적 요인이 에이즈 치료 수준에 미치는 영향으로 연구 주제를 바꿨고,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진 하버드대 교수, 남아공 카와줄루나탈대 교수와 함께 공동연구로 내년 여름 논문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들이 방문 연구를 한 곳은 영국의 대표적인 생의학 연구 지원재단 웰컴트러스트의 지원을 받는 남아공 카와줄루나탈 지역의 ‘인구·보건 연구를 위한 아프리카센터’다. 이들은 “연구 주제 발굴부터 데이터 수집, 논문 작성까지 자발적으로 하게 돼 뿌듯하다”면서 “공중보건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다”고 밝혔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9-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