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환자 20%는 간암 위험에도 약물복용 소홀”

“B형간염환자 20%는 간암 위험에도 약물복용 소홀”

입력 2014-10-19 00:00
수정 2014-10-19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간사랑동우회, B형간염 환자 940명 조사결과

국내 B형간염 환자들이 약물 복용을 여전히 소홀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형간염은 간암 발병의 최대 원인으로 약물 복용을 소홀히 할 경우 예기치 않은 바이러스 증식 현상이 나타나거나 내성이 발생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악화할 수 있다.

19일 간질환 환자단체인 간사랑동우회(대표 윤구현)가 ‘간(肝)의 날’(10월20일)을 맞아 B형간염을 앓는 소속 회원 940명을 대상으로 약물 복용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매월 평균적으로 남기는 알약의 수가 5알(월 30알 기준) 이상으로 약물복용을 소홀히 하는 환자가 5명 중 1명(20.2%)꼴로 분석됐다.

또 매월 전문의로부터 처방받은 약을 모두 복용하는 환자는 44.7%로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10알 이상 누락 하는 경우도 8.3%에 달했다.

하지만 응답자의 95.9%는 스스로의 약물복용 실태에 대해 ‘보통 이상의 수준’이라고 자평함으로써 약물 복용 인식 수준과 실제 실천 수준에 큰 차이를 보였다.

실수로 약을 복용하지 않았을 때는 응답자 10명 중 8명(85%) 이상이 특별한 대처 없이 넘어간다고 답했으며, 13.2%는 약 복용을 임의로 중단한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임의 중단 이유로는 ‘특별한 증상의 부재(71.0%)’가 가장 많았다.

눈에 띄는 건 환자들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이 7년 전인 2007년 조사 당시와 비교할 때 상급종합병원(46.7%→34.9%)은 줄고, 의원(19%→26.1%)은 늘었다는 점이다. 그동안의 일방적인 대형병원 선호도에서 벗어나 만성질환인 B형간염을 개원가에서 관리하는 환자가 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배시현 교수는 “만성 B형간염 환자가 수년 또는 평생에 걸쳐 매일 약을 복용한다는 게 생각처럼 쉽지 않지만,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으면 내성이 생기고 자칫 간암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면서 “환자 스스로 복약 습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내심을 가지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