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탙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31) 가을철 건강식 추어탕

[탙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31) 가을철 건강식 추어탕

입력 2014-11-03 00:00
수정 2014-11-03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입맛을 돌게 하는 한 끼 식사는 몸을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엔도르핀 분비를 자극하고 마음을 즐겁게 해 유쾌한 기분이 들게 한다. 봄에는 달래와 고사리가 상큼함으로, 여름에는 삼계탕이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준다. 짙어가는 가을에는 당연히 대표 보양식인 추어탕이 첫손가락에 꼽힌다.

추어탕의 주 재료인 미꾸라지는 술독과 갈증을 풀어주고 소화를 돕는다. 동의보감은 미꾸라지를 ‘맛은 달고 성질이 따뜻할 뿐 아니라 독이 없어 비위의 기능을 보해주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라고 소개한다. 본초강목에는 원기를 돋우고 술이 빨리 깨게 할 뿐 아니라 성 기능 개선에도 아주 효과적인 강장식이라고 기록돼 있다.

추어탕을 끓일 때는 민물고기의 비린 맛을 없애려고 산초를 넣기도 하는데, 산초는 위를 든든하게 하고 소염작용과 이뇨작용을 도와줘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한다. 또 산초의 향긋한 맛은 추어탕의 기운이 온몸에 더 잘 전달되도록 한다. 미꾸라지는 단백질과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D가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데다 불포화지방산이라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이면 미꾸라지의 뼈까지 통째로 먹을 수 있어 칼슘 보충에도 탁월하다. 특히 소화가 잘돼 소화력이 떨어진 어르신이나 큰 수술 후 회복기 환자의 기력 회복에 아주 좋은 식품이다.

2014-11-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