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엉덩이둘레비 높은 폐경여성, 동맥경화 조심”

“허리-엉덩이둘레비 높은 폐경여성, 동맥경화 조심”

입력 2015-02-13 11:00
수정 2015-02-13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허리-엉덩이둘레 비율(WHR)’ 수치가 높은 폐경여성은 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류혜진 교수팀은 2012년 4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건강증진센터를 찾은 여성 44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WC) 등 3가지 인체지수를 측정한 뒤 심혈관질환의 주요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 발생 여부를 분석했다.

죽상동맥경화증은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이 동맥 안에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내버려두면 뇌졸중과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폐경 전 여성(209명)에서는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WC) 3가지 수치가 모두 혈관의 동맥경화도와 비례했다. 반면 폐경 후 여성(233명)은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에서만 이런 상관관계가 관찰됐다.

또 죽상동맥경화증의 대표적 지표인 ‘경동맥 혈관벽 두께’ 분석에서도 폐경 후 여성은 체질량지수(BMI)가 정상일지라도 허리-엉덩이둘레비율이 높으면 혈관벽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류혜진 교수는 “폐경 후 여성들은 기초대사율이 감소하고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면서 복부 내장지방이 급격히 늘고, 둔부, 대퇴부 피하지방은 감소한다”면서 “때문에 단순 체질량지수가 아닌 허리-엉덩이둘레비율이 좀 더 정확하게 폐경여성의 죽상동맥경화증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이 분야 국제학술지(Maturita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