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숭호 성균관대 화학고분자공학부 교수팀은 유전자 이상으로 발생하는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세포핵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나노생명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스몰’ 온라인판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실제 다운증후군 같은 유전질환 치료로 연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연구팀은 자연 상태의 세포핵처럼 생체 외부에서도 단백질을 원활하게 합성할 수 있는 인공세포핵을 만들었다. 인공세포핵은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젤리 형태의 하이드로겔로 다량의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다. 연구팀은 인공세포핵을 이용해 단백질을 합성할 경우 단백질 생성효율이 기존 mRNA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100배 이상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