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여부는 전문의가 판단… 본인 부담금 인상 폭은 협의 중

응급환자 여부는 전문의가 판단… 본인 부담금 인상 폭은 협의 중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2-29 18:08
수정 2015-12-29 1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응급실 이용 제한 Q&A

보건복지부는 29일 의료감염 관리대책을 추진하되,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하는 비응급 환자의 본인부담금 인상 수준 등 민감한 문제는 향후 과제로 남겨뒀다. 다음은 김강립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과의 일문일답.

→비응급·응급 여부는 누가 판단하나.

-응급실 전문의의 판단에 맡긴다.

→비응급·경증 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고집하면 본인부담금을 얼마나 늘리나.

-환자의 본인부담금을 늘리는 문제는 매우 민감해 아직 정하지 못했다. 효과를 높이려면 반발을 감수해야 하고, 반발 때문에 본인 부담금을 소폭 늘리면 효과가 미미하다. 시민사회단체와 협의하고 있다.

→대형병원 응급실이 환자를 돌려보내면 ‘진료 거부’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데.

-응급실 전문의가 환자를 진단해 중증도를 판단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진료 행위다. 환자를 중소병원 응급실로 돌려보내도 ‘진료 거부’가 아니다. 외상 환자가 응급실을 전전하다 이른바 ‘골든 타임’을 놓치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

→병원은 ‘진료 거부’가 아니니 책임 없다고 할 텐데, 대형·중소병원 응급실을 오가다 사망하면 누가 책임지나.

-극단적인 경우이긴 하지만, 시행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대책을 강구 중이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 eoul.co.kr
2015-12-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