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발견하면 완치율 높은 자궁경부암, 예방수칙은?

조기 발견하면 완치율 높은 자궁경부암, 예방수칙은?

입력 2016-11-27 10:27
수정 2016-11-27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등학교 5, 6학년 때 백신 접종 필수…2년마다 국가 암 검진 받아야

올해 6월부터 실시된 만 12세 여성 청소년 대상 자궁경부암 무료 예방접종사업에 1차 접종 기준으로 28%(13만명)만 참여한 것으로 나타나 자궁경부암 예방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산부인과 전문의들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은 선별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을 하면 생존율이 90%가 넘을 정도로 치료 효과가 높은 암이다.

자궁은 체부와 경부로 구성되는데 자궁경부암은 질에 연결된 부위에 악성종양이 발생하면 걸리게 된다. 성관계로 전염될 수 있는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주요 감염원으로 알려졌다.

개인위생관리가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2013년 기준 전체 여성 암 중 7위를 차지했으며 인구 10만명당 7.2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원인은 성관계로 인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외 ▲ 흡연 ▲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 ▲ 과일·채소 섭취 부족 ▲ 5년 이상의 경구 피임약 복용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자궁경부암은 대부분 초기에 증상이 없다가 나중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으로 산부인과 진찰을 받는 게 중요하다.

주요 증상은 비정상적이고 불규칙한 질출혈을 비롯해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혈뇨’, 허리통증, 체중감소 등이다.

전문가들은 성 경험을 하기 전에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맞으면 96.7%의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가급적 어릴 때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을 추천하고 있다.

기경도 강동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자궁경부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효과가 매우 높지만 진행되거나 재발한 경우에는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생존율이 낮다”며 “성 경험이 있는 여성은 2~3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당부했다.

◇ 자궁경부암 예방수칙

① 국가 암 검진 등 2~3년마다 정기 검진을 받는다.

② 초등학교 5·6학년 때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한다.

③ 콘돔 착용 등 안전한 성생활을 한다.

④ 흡연자의 경우 담배를 끊는다.

⑤ 균형 있는 식생활을 통해 비타민 A·C·E를 충분히 섭취한다.

⑥ 적절한 운동을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