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피로 푸는 목욕, 잘못하면 피부 늙는다

명절 피로 푸는 목욕, 잘못하면 피부 늙는다

입력 2017-01-30 15:06
수정 2017-01-30 15: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설 연휴 막바지에는 음식 준비와 장거리 운전으로 쌓인 피로를 풀기 위해 사우나나 찜질방을 찾는 경우가 많다.

실제 목욕은 체내 독소와 노폐물 배출을 돕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몸에 좋은 목욕도 잘못하면 피부 노화를 앞당기는 독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피로 해소에 좋은 물 온도와 피부에 좋은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근육을 이완시키고 체내 노폐물 배출을 돕기 위해서는 수온이 40도가 살짝 넘어야 하는데, 이는 피부에 좋은 물 온도 35도보다는 높다.

40도가 넘는 고온의 물에 장시간 입욕하면 피부 탄력이 떨어져 주름이 생기거나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부를 수 있다.

피부 온도가 올라가면 피부 탄력성분인 콜라겐 등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피부 탄력이 줄어 주름으로 이어진다. 열에 의한 피부 노화는 목욕뿐 아니라 찜질방, 사우나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물속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 너무 오랫동안 탕 안에 있지 않아야 하는데, 수온은 뜨겁지 않은 정도가 적절하다. 팔꿈치를 수면에 닿게 했을 때 따뜻한 온도가 35도 내외다. 하지만 적절한 수온이라고 하더라도 30분을 넘기지 않는 게 좋다. 물 온도가 살짝 뜨거운 정도라면 10~20분으로 줄여야 한다.

탕에서 나온 후에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피부 온도를 떨어뜨리면 열로 인한 피부 노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오랜 시간 입욕하거나 사우나를 즐길 경우 피부보호막을 손상해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 타월로 피부를 심하게 미는 행위 역시 피부의 죽은 각질 뿐 아니라 살아있는 표피층까지 벗겨내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게 좋다.

이주희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는 30일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 질환이 있거나 최근 추운 날씨로 인해 건조해진 피부에는 과한 목욕이 더 심한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며 “목욕 후 보습제를 충분히 바르는 등의 조치를 함께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