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타이레놀 장기 복용, 아이 ADHD 위험↑”

“임신 중 타이레놀 장기 복용, 아이 ADHD 위험↑”

김지수 기자
입력 2017-10-31 11:03
수정 2017-10-31 1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신 중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제품명: 타이레놀)을 오래 복용하면 태어난 아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겪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보건연구원의 에이빈 위스트롬 박사 연구팀이 1999~2009년 사이에 태어난 11만4천744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장기간 진행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임신 중 타이레놀 장기 복용, 아이 ADHD 위험↑” 연합뉴스
“임신 중 타이레놀 장기 복용, 아이 ADHD 위험↑”
연합뉴스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29일 이상 복용한 여성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아세트아미노펜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여성이 출산한 아이에 비해 ADHD 진단율이 2배 높게 나타났다고 위스트롬 박사는 밝혔다.

임신 3개월, 3~6개월, 6~9개월 사이에 간혹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경우 아이들의 ADHD 위험은 17%, 39%, 46%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기간이 1주일 이하인 경우는 아이들의 ADHD 위험이 오히려 약 10% 낮았다.

임신 이전의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출산한 아이의 ADHD 위험과 연관이 없었다.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한 여성은 5만2천707명(46.7%)이었고 전체 아이 중 2천246명(약 2%)이 ADHD 진단을 받았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의 크리스티나 체임버스 박사는 아이들의 ADHD 위험이 임신 중 복용한 아세트아미노펜 때문인지 아니면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필요한 기저 질환 때문인지는 알 수 없다고 논평했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이 태아의 뇌 발달에 필요한 모체의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ADHD 아이들은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고 조바심을 내고 말이 많은 증상을 보인다. 또 이상한 공상을 하고 잊거나 잃어버리는 일이 잦고 위험한 행동을 하며 조심성이 없고 유혹을 참지 못한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사협회(AMA) 학술지 ‘소아과학’(Pediatrics) 온라인판(10월 30일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